TUV 라인란드로부터 시스템에어컨 1대 당 14.85kg CO2 배출 감소 검증
실내기 판넬 제조 시, 내부에 기포 생성하는 ‘물리 발포 성형’ 첫 도입

[포쓰저널] LG전자가 시스템에어컨 제조 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공법을 적용해 탄소 배출을 저감한다. LG전자의 ESG(환경·사회·배구조)비전인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실천하기 위한 일환이다.
17일 LG전자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TUV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상업용 4방향(way) 시스템에어컨 1대 당 14.85킬로그램(kgCO₂eq,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였음을 검증받았다.
이번 탄소배출 저감의 핵심은 시스템에어컨의 외관 판넬 제조 공법 및 소재 변경에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제조와 달리 질소 가스를 주입해 내부에 기포를 생성하는 ‘물리 발포 성형’ 방식을 처음 도입해 4방향 시스템에어컨 1대 당 플라스틱 사용량을 약 900그램(g) 줄였다.
이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도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PP(Polypropylene) 소재로 변경했다.
LG전자가 검증 받은 시스템에어컨은 제조 공법 및 소재 변경으로 제조 시 플라스틱 사용량 약 270톤(t), 이산화탄소 배출은 4400톤(tCO₂eq) 이상 줄일 것으로 기대됐다. 이는 축구장 580여 개 면적에 해당하는 30년생 소나무 산림이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 수준이다.
LG전자는 6월부터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물리 발포 방식을 적용한 상업용 4방향 시스템에어컨을 생산 중이다. 앞으로 개발되는 주거용·상업용 시스템에어컨에 순차 적용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4.6%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생산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및 재생 전력 전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핵심 부품 기술력인 코어테크 기반의 고효율 가전을 생산해 실사용 조건에서도 탄소 배출을 줄이는 활동도 이어나가고 있다. 모터와 컴프레서의 운동 속도를 변환해 상황에 따라 꼭 필요한 만큼만 제품을 작동시키는 인버터 기술을 적용하는 한편, 최근에는 기존 냉매(R410A)보다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0% 수준인 R32 냉매를 적용한 인버터 스크롤 칠러를 출시하는 등 환경규제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
LG전자 ES사업본부 SAC사업부장 배정현 전무는 “새로운 공법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냉매 사용을 늘리는 등 환경을 고려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전자, '올해의 에너지위너상'서 최고상 휩쓸어
- "AI 바람으로 쾌적 수면"..LG 휘센 AI 시스템에어컨, 차별화된 AI 냉방
- 탄소중립 고효율 HVAC 솔루션 공개..LG전자,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참가
- 칠러 ‘터보 히트펌프’ 등 '에너지대상"..LG전자 "저탄소∙에너지 절감 실현"
- LG 주요 계열사 작년 온실가스 배출, 2018년 대비 19% 감축
- 정관장 신규모델에 박보검.."신뢰·건강 이미지"
- LG전자, 50세 이상 직원 대상 희망퇴직 실시.."인력 선순환 차원"
- LG전자, IFA 2025서 유럽 맞춤형 가전 신제품 공개
- [브리핑] CJ제일제당 크레잇, 커피 전문점 '감성커피'와 콜라보
- LG전자, 공기질 전문가와 공기청정 센서·필터 개발 협력
- LG전자, 상업용 에어컨·환기 시스템도 구독 서비스
- 새로운 브랜드 철학 경험..'LG전자 플래그십 D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