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전력·통신 데이터 융합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공사와 데이터 기반의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1인 가구의 이상 징후를 감지해 고독사를 예방하는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에 참여한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전력이 사회안전망 구축의 일환으로 2021년부터 시행 중인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는 1인 가구의 고립과 고독사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됐다.
각 가정의 원격검침계량기(AMI)가 수집한 전력사용 데이터로 1인가구의 장기간 전력 미사용, 급격한 사용량 변화 등 비정상적인 패턴을 선제 탐지할 수 있다.
통화나 데이터 사용 패턴 등 LG유플러스의 통신 정보가 결합되면 감지 정확도는 더욱 높아지고 불필요한 오탐지도 대폭 줄어든다.
감지된 위기 징후는 지자체에 전달된다. 필요시 AI(인공지능)가 자동으로 안부 전화를 시도하거나 복지 공무원이 직접 확인·출동하게 된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지금까지 13명의 생명을 구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복지 공무원의 전화·방문 부담을 86% 이상 줄이고 기존 IoT(사물인터넷) 기반 서비스 대비 약 6900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거뒀다.
한국전력은 전력 데이터를 활용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고 통신 데이터를 결합한 AI 분석으로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인 안부 확인 체계를 구축했다.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과의 협업을 통해 안전한 상호 데이터 연계를 위한 전용망을 구축하고 사회안전망 구축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박종운 한국전력공사 ICT기획처장은 "AI와 데이터가 사람을 살리는 시대에 기술은 삶을 지키는 또 하나의 사회적 인프라다"며 "이번 협약이 돌봄 공백 없는 사회로 나아가는 실질적인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고객그룹장(전무)은 "한국전력의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에 통신 데이터를 제공해 사회 취약계층에게 안전한 삶과 밝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데 기여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한국전력과 데이터 기반의 사회안전망 서비스 및 디지털 신사업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현장] "SKT 해킹사고, '정보보안 거버넌스' 문제 있었다"
- [현장] "AI 활용 '제로 트러스트' 보안 적용해야..SKT사례 교훈"
- LG유플러스, AI 스타트업 4곳 투자..50억 펀드 조성
- LG유플러스 "RAPA·퀄컴과 5G 사물인터넷 생태계 확장"
- LG유플러스, 작년 정보보호에 828억 투자..전문인력 293명 확충
- LG유플러스, AI·디지털트윈 기반 데이터센터 통합시스템 고도화
- LG유플러스 '유플투쁠' 44개사와 제휴.."혜택 쏟아진다"
- "통신 피싱 범죄, 직원 상담으로 막았다"..U+보안전문매장 20만명 방문
- 단통법 폐지 임박.."갤럭시Z 지원금 피해 주의"
- '번호이동 담합' 이통3사 과징금 1140억→963억원 감경
- LG유플러스 "혹서기 대응책 마련..현장 직원 안전 책임"
- LG유플러스 '이음 5G 특화망' 상용화.."공항철도 DX 기반"
- LG유플러스 '로밍 데이터 2배' 여름 휴가 프로모션
- LG유플러스 "'미끼 문자' 잡는 AI로 스팸 문자 차단 1.4배 증가"
- "원하는 AI 서비스만 골라서 구독"..LG유플 '유독픽 AI' 출시
- LG유플러스, 아리랑TV와 글로벌 방송 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