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CJ ENM 센터서 ‘CJ ENM 컬처 TALK’ 개최
"콘텐츠 業 최적화 AI 기술 확보 총력…신규 콘텐츠 사업 모델 창출"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CJ ENM이 문화사업 출범 30주년을 맞아 글로벌 AI(인공지능) 콘텐츠 선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30일 CJ ENM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센터에서 ‘K콘텐츠, AI와 만나다: AI 기술이 바꾸는 K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CJ ENM 컬처 TALK’ 행사를 개최, AI 콘텐츠 특화 조직 확대 등 AI 사업 추진 전략과 자체 제작한 AI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공개했다.
CJ ENM은 콘텐츠 산업에 특화된 AI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기술 혁신을 넘어 강력한 크리에이티브 경쟁력을 통해 차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발표에 나선 신근섭 CJ ENM 전략기획담당은 CJ ENM의 AI 4대 전략으로 ▲AI 스크립트 ▲AI 프로덕션 ▲AI 퍼블리싱 ▲AI 씨네마틱 비디오를 소개했다.
그는 “현재 기획, 제작, 유통·마케팅 등 콘텐츠 제작 단계 전반에 AI 기술을 적용해 프로세스를 선진화하는 한편, 다양한 장르와 포맷의 AI 콘텐츠 제작을 확대해 신유형 원천 IP(지식재산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며 “AI 기술, 콘텐츠 기획, 사업 역량을 모두 겸비한 전문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고 AI 콘텐츠에 특화된 조직을 확대해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하겠다”고 했다.
기획 단계에서 IP(지식재산권_ 발굴 경쟁력을 증대하고 제작단계에서는 전통적 제작 프로세스 개선 및 선진화, 유통·마케팅 단계에서는 멀티국가·채널 대응 및 마케팅을 강화함은 물론 신규 콘텐츠 사업 개발에서 힘을 쏟는 AI 기반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백현정 AI사업추진팀장은 원천 IP 발굴을 지원하는 AI 에이전트 'AI 스크립트'와 자체 개발을 통해 콘텐츠 제작 과정에 적용하고 있는 AI 기술 시스템인 ‘시네마틱 AI’에 대해 상세히 소개했다.
AI 스크립트는 콘텐츠 트렌드, 소비자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력 있는 원천 IP를 발굴하고 적합 장르 및 미디어를 제언해주는 기술이다.
백 팀장에 따르면 AI 스크립트는 대규모 맥락형 텍스트 처리 특화 기술을 통해 현재 대중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문화 및 트렌드를 발굴하고 이에 어울리는 장르 및 타킷을 제안할 수 있다.
백 팀장은 “AI 스크립트는 기존 빅테크 기업에서 제공하는 언어 분석 모델 대비 함축적 의미가 많은 문학적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시네마틱 AI는 드라마, 영화 등 내러티브 콘텐츠에 최적화된 AI 영상 제작 시스템이다.
백 팀장은 “기존에는 각각 개별 AI 툴로 작업해야 했던 이미지·비디오·사운드·보이스 등을 원스탑으로 제작할 수 있어 AI 콘텐츠 제작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 특징”이라며 “캐릭터와 배경을 3D로 자동 데이터화하는 기술도 탑재해 기존 AI 콘텐츠 제작에서 한계로 지적됐던 캐릭터 일관성 유지가 가능해졌다”고 했다.
백 팀장은 “CJ ENM은 AI 및 콘텐트 융합 기반의 AI 전문 크리에이터 그룹 확보 및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며 “AI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담당하는 AI 콘텐츠 디렉터팀, AI 콘텐츠 제작 기술을 담당하는 AI 테크 디렉터팀, AI 콘텐츠 제작 사업을 담당하는 AI Biz 디렉터 팀 등 총 3개의 그룹을 중심으로 AI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CJ ENM이 자체 AI기술과 역량을 바탕으로 직접 제작한 신규 AI 애니메이션 ‘캣 비기’(Cat Biggi) 시리즈도 최초로 공개됐다.
‘캣 비기‘는 고양이가 병아리를 만나 아빠가 되는 육아대디 성장 스토리를 논버벌(Non-verbal)로 그려냈다. 약 2분 분량의 숏폼 총 30편이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달 중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
CJ ENM에 따르면 캣 비기는 기획 및 캐릭터 개발 포함 총 5개월 만에 완성된 작품으로 참여 인원도 AI 기획, 제작 전문가 단 6명에 불과하다.
’캣 비기‘ 기획 및 제작을 총괄한 백 팀장은 “실사에 비해 동작이 크고 다채로운 애니메이션 영상의 특성을 AI로 제어하고 표현하는 것이 관건이었다”며 “자체 개발한 시네마틱 AI로 캐릭터를 3D 데이터로 만들고 이를 영상 제작 시스템에 학습시켜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선보일 수 있었다”고 했다.
CJ ENM은 한국 정서를 AI 기술로 구현한 장편 영화와 세계 속 신화에 숨겨진 어드벤처 스토리를 담은 AI 드라마 시리즈도 연내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CJ ENM은 이날 행사에 임상혁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를 초청, AI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한 정책 방향도 논의했다.
임 변호사는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K콘텐츠가 AI콘텐츠 시대를 리드할 수 있으려면 창의성을 가진 CJ ENM과 같은 기업이 산업 성장을 주도할 수 있게 육성해야 한다”며 “AI 콘텐츠 산업 맞춤형 가이드 수립, 저작권 및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전담 부서 신설 등 법과 제도 정비해 글로벌 AI 콘텐츠 시장을 선도할 생태계 기반을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저작권법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AI 및 콘텐츠 강국으로서의 저작권법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국제질서에 한국이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이끌고 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