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던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 관세 부과를 내달 시작할 것임을 시사했다.
해외에서 수입돼 미국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현재 기본 관세 10%만 적용중으로 관세 인상은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 스마트폰 가격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애플과 삼성전자는 전세계 균일가를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해외에서 생산된 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해 한 회사만 특정해 관세를 부과할 권한이 있는지와 미국 기업을 겨냥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관세 부과 대상이) 더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삼성이나 제품을 (해외에서) 만드는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다"라면서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것은 아마 6월 말께 시작될 것이다. 우리는 6월 말까지 그것을 적절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해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를 내달 말부터 부과할 것임을 내비쳤다.
다만 그는 "그들(업체)이 이곳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거점을 인도로 옮기려는 것과 관련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와의 대화를 거론하면서 "(애플 공장이) 인도로 가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그럴 경우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는 할 수 없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관세 협상을 책임지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해외 생산, 특히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애플에 들어가는 부품의 큰 부분은 반도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9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를 발효했으나 반도체, 스마트폰, 노트북, 모니터 등 전자기기는 대상에서 제외하고 품목별 관세 적용만 예고했다.
중국 특별 수입관세 20%만 기존 방침대로 유지,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중국에 부과한 기본 관세 20%만 적용받고 있다.
애플 아이폰은 생산 및 조립의 약 90%가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미국향 스마트폰의 경우 약 60%가 베트남산으로 나머지는 인도와 한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된다. 미국이 지난달 부과한 베트남 46%의 상호관세는 유예된 상황으로 기본 관세 10%만 적용되고 있다.
미국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애플과 미국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0%수준이다.
스마트폰과 함께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다.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지난달 반도체, 반도체 제조 장비, 파생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외국에서 제약사가 받는 약값을 불공정하게 인위적으로 억제하는 경우가 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미국인의 약값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관련기사
- 셀트리온 서정진 "2026년까지 美 관세 부과 리스크 없을 것"
- 미-중 '상호관세' 사실상 폐기..'관세 전쟁' 급반전
- [관세전쟁] "韓, 국가안보 개념 정비하고 AI·디지털 규범 형성에 주도적 참여해야"
- [관세전쟁] 트럼프 의약품 부과 초읽기…셀트리온·삼바 "美 현지 공장 검토"
- [관세전쟁] 韓美, 6·3 대선 이후 '7월 패키지합의' 추진
- [관세전쟁]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통상협의…국익 최우선"
- [관세전쟁] 美 "中 해운사·선박 입항수수료 부과"
- 미-중 '관세 전쟁' 끝?...트럼프 "중국과 거래 타결됐다"
- 애플, 8038억원 EU 반독점 과징금 불복.."법적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