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파이프라인 상세 타임라인 첫 공개
바이오시밀러-신약 ‘투트랙’ 전략 구체화

[포쓰저널=신은주 기자] 셀트리온 서정진(68)·서진석(41) 부자(父子)가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투자 행사인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함께 참석한다.
8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장남 서진석 셀트리온 경영사업부 대표이사와 14일 오후 5시 15분(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더웨스틴세인트프랜시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리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회사의 미래 비전과 신약 개발 전략을 발표한다.
신약 파이프라인의 상세 개발 타임라인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발표 후 투자자들과 현장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특히 이번 발표는 지난해에 이어 행사의 핵심 무대인 메인트랙(Main Track)에 마련됐다. 메인트랙 발표는 전 세계 투자자 및 업계 관계자들이 주목하는 가운데 글로벌 바이오산업에서 높은 위상과 성장 가능성을 갖춘 일부 초청 기업만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셀트리온은 세계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다수의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확장, 항체·약물접합체(ADC), 다중항체 등 첨단 모달리티(치료적 접근법) 분야에서 신약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개발 성과를 알리고, 향후 파이프라인별 임상 진입 등 구체적 개발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2028년까지 9개의 ADC 신약과 4개의 다중항체 신약 등 총 13개의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일정을 공개한다.
아울러 지난해 월드ADC에서 공개된 CT-P70, CT-P71 등 ADC 항암신약을 포함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실질적인 개발 성과를 알리고 차세대 ADC, 다중항체 신약개발 분야에서 회사의 강점을 소개하며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으로 도약을 선포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와 신약개발을 아우르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구체화하며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을 강화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해 왔다.
미국 시장에 안착한 신약 ‘짐펜트라’를 기반으로 셀트리온은 신규 모달리티를 활용한 본격적인 신약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9년 첫 제품 상업화를 목표로 신약 개발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서정진 회장은 지난해 말 홍콩에서 열린 기업설명회를 통해 2030년까지 매출의 40%를 신약에서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밝히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은 이번 JPM 발표를 통해 향후 글로벌 신약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준비한 청사진을 상당 공개할 방침”이라며 “항체 명가로서 구축한 역량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신약개발을 차질 없이 수행해 청사진을 완성하는 동시에 명실상부한 글로벌 빅파마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13일부터 16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다. 올해 43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는 제약바이오 기업 550여개, 참가자 8000여명 이상이 모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인사] 셀트리온그룹(임원승진)
- 셀트리온 자사주 1천억원 추가 취득..올해 총 5360억원 규모
-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CT-P44 3상 美 IND 승인
- 셀트리온 허쥬마, 일본서 74% 점유율 달성
- 셀트리온, 공간안전∙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 서정진·신유열·존림 美 출장길...K-바이오, 'JP모건헬스' 총출동
- 셀트리온 '스테키마', 유럽 주요 5개국 출시 완료
- 4조원대 글로벌 시장 정조준...셀트리온, '앱토즈마' 美 품목허가 승인
- 'ADC 항암신약 개발 본격'…셀트리온, 'CT-P70' 美 임상 1상 신청
- 셀트리온제약, 고혈압·고지혈증 3제 복합제 암로젯정 국내 판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