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소프트웨어 비중 높여

사진=삼성자산운용
사진=삼성자산운용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KoAct 글로벌AI&로봇액티브’ ETF(상장지수펀드)의 수익률이 상장 이후 1년 만에 51.9%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미국 S&P500 수익률 33.4%, 나스닥 35.8%을 크게 상회하는 성과다. 추종지수 32.4%도 19.5%포인트(p) 초과했다. 최근 1개월 수익률도 8.6%에 달한다.

KoAct 글로벌AI&로봇액티브는 생성형 AI(인공지능) 등장으로 본격화된 AI산업의 장기 성장을 예상하고, 산업 초창기에는 AI인프라, 이후 성장기에는 AI서비스·소프트웨어, 성숙기에는 AI로봇에 집중 투자하는 운용전략을 적용한 국내 최초의 글로벌AI&로봇 ETF다.

‘iSelect 글로벌 AI&로봇 PR지수’를 추종지수로,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의 리서치가 엄선한 종목을 추가로 반영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양희창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매니저는 “지난해 상장 당시 2023년 AI인프라 구축 단계에서 2025년 AI서비스·소프트웨어분야, 2027년 AI로봇 시장으로 단계별 발전이 전망된다는 점을 투자자분들께 설명드렸고, 이 전망에 맞춰 AI소프트웨어 비중을 상장 초기 40% 수준에서 올해 하반기부터 58%까지 늘렸다”고 말했다.

하반기 비중을 늘린 대표적인 기업은 테슬라(자율주행), 팔란티어(AI 정보 분석), 앱플로빈(AI 광고), 질로우(AI 부동산) 등이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로봇 또한 AI기술의 결합으로 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는 대표적인 분야로 주목하고 있다.

AI분야의 발전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급속도로 진화되면서 2027년 전후로 로봇 분야가 주요 산업으로 본격 성장할 수 있는 만큼 관련 기업들의 움직임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양 매니저는 “AI학습 단계를 넘어 기업 및 각국 정부의 AI추론 수요가 확대되면서 AI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이번 분기 매출 및 수주잔고의 성장세에 가속도가 붙고 있어 내년부터는 AI 소프트웨어 기업 중에서 넥스트 엔비디아가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며 “또한 2027년 전후로 AI로봇 분야가 본격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로봇 관련 투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