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상승 최소화 'AI 정온' 기능 탑재
구입한 김치도 최적 보관 '스캔킵' 적용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AI(인공지능)로 온도 유지 기능을 강화하고 과일, 곡물, 육류 등 다양한 식재료의 맞춤 보관 기능을 강화한 삼성전자의 김치냉장고 신제품이 출시됐다.
삼성전자는 2024년형 '비스포크 AI 김치플러스'를 20일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비스포크 AI 김치플러스 신제품은 AI가 사용 패턴을 분석해 냉장고를 자주 사용하지 않을 때 제상(성에 제거)을 수행함으로써 냉장고 안의 온도 상승 폭을 최소화하는 'AI 정온' 기능이 새롭게 적용됐다.
AI 정온 기능과 내부 온도 편차를 ±0.3도 이내로 유지하는 초미세정온 기술로 냉장고 본연의 온도 유지 기능이 강화됐다.
신제품에는 또 삼성전자 김치냉장고의 대표 기술인 '메탈 쿨링'과 '맞춤 숙성실'은 물론 김치 냄새 퍼짐을 줄여주는 '냄새 케어 김치통'이 새롭게 적용됐다.
냄새 케어 김치통은 김치가 숙성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가스 밸브와 가스 흡수 필터를 통해 통 외부로 김치 냄새가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해 준다.
가스 밸브 장착 김치통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를 넘을 때만 일시적으로 가스 밸브가 열려 가스 흡수 필터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도록 설계됐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처음 도입한 맞춤 숙성실은 개인별로 다양한 입맛에 맞춰 식재료를 소분해 원하는 상태로 섬세하게 숙성할 수 있는 맞춤 보관 공간이다.
냉장고 상칸 우측에 마련된 맞춤 숙성실은 별도의 온도 조절 시스템이 적용돼 김치를 원하는 맛으로 숙성할 수 있는 김치 중숙, 김치 완숙 모드, 육류 해동, 과일 숙성, 빵 반죽 발효 모드까지 총 5가지를 제공한다.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을 활용한 '스캔킵(Scan keep)' 기능도 신규 탑재됐다.
스캔킵은 소비자가 구매한 김치 포장지의 바코드를 스마트싱스에서 스캔하면 김치 브랜드와 종류에 가장 적합한 보관 모드를 설정해 주는 기능이다.
김치뿐만 아니라 과일, 곡물, 육류 등 총 500개의 식품을 최대 24개의 맞춤 보관 모드로 저장할 수 있는 '식재료 맞춤 보관' 기능도 스마트싱스를 활용해 사용할 수 있다.
평소 상온에 보관하던 쌀이나 김치 표준모드로 보관하던 과일을 스마트싱스가 추천하는 모드를 사용하면 더욱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가벼운 터치만으로 상칸 도어를 자동으로 열어주는 '오토 오픈 도어' △스마트싱스에서 생활 패턴에 맞춰 냉장고 안의 밝기 조절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젠틀 라이팅(Gentle Lighting)' 등 편의 기능도 추가됐다.
2024년형 비스포크 AI 김치플러스는 에센셜 화이트와 에센셜 베이지 2가지 색상이 추가돼 총 9가지 패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능과 도어 패널 사양에 따라 프리스탠딩 타입(490ℓ,583ℓ)과 키친핏 타입(420ℓ)으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각각 252만~416만원, 233만~380만원이다.
삼성전자 DA사업부 이무형 부사장은 "비스포크 AI 김치플러스는 가족 구성원마다 각기 다른 취향과 입맛에 따라 다양한 식재료를 맞춤 보관할 수 있는 다목적 냉장고로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개개인의 취향과 생활 패턴까지 고려한 편리한 맞춤 기능들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비스포크 AI 콤보', 페루·아르헨티나 등 15개국서 판매..삼성전자,중남미 공략 강화
- [IFA 2024] 원하는 이미지 커스터마이징..삼성전자 뮤직 프레임, '위키드' 에디션 공개
- [IFA 2024] "AI로 지속 가능 일상 구현"..삼성전자, IFA 2024 프레스 컨퍼런스 개최
- [IFA 2024] '모두를 위한 AI'...삼성전자, 업계 최대 규모 전시
- 삼성·LG TV 美 소비자 만족도 1·2위...PC·가전은 애플 ·월풀에 밀려
- [현장] "삼성전자 RE100 준비 소홀...국내 반도체 공장 첨단 EUV 공급 끊길수도"
- 베트남 투자 늘리는 삼성...삼성디스플레이, 박닌성에 2.4조 추가 투입
- 삼성전자, '키친핏 맥스' 디자인 적용 김치냉장고 신제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