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범국가적 AI 육성 및 생태계 조성’ 국회 세미나
"ICT 경쟁력·디지털 역량 기반한 K-AI 생태계 육성 추진해야"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우리나라 인공지능(AI)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및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 국민 디지털 역량에 기반한 AI 인프라 중심 K-AI 생태계 육성을 추진해야 합니다.”
26일 코리아 AI 포럼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범국가적 AI 육성 및 생태계 조성’ 세미나에서 한순구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우리나라 AI 산업육성 정책 제언’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한 교수는 “AI 생태계 장을 꾀하는 기업들에게 AI 인프라 확보는 서비스 경쟁력 등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국가 차원에서도 AI 인프라 자생력 확보와 생태계 육성은 미래 준비의 톱 아젠다(Top Agenda)라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AI 생태계 구축은 국가가 전력을 기울여야만 달성 가능하며 앞으로 2~3년이 K-AI 산업 생태계 구축의 골든타임”이라고 했다.
한 교수는 “우리나라는 AI 인프라와 모델 분야에서 자체 역량을 구축할 수 있는 소수 국가 중 하나”라며 “메모리 반도체 등 강점을 활용해 AIDC(AI 인프라)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 K-AI 생태계를 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국민들의 높은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국산 AIDC를 활용하는 K-AI 모델과 서비스의 개발 및 이용도 필요하다”고 했다.
한 교수는 K-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국산 AIDC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진출 지원 △글로벌 톱 수준의 AI 생태계 육성 △AI 혁신 촉진과 이용확산을 위한 AI 규제체계 수립 등을 언급했다.
그는 “민간의 대규모 선제 투자를 위한 마중물을 제공해 국내 AIDC 확충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고 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정책지원 패키지를 마련할 필여가 있다”고 했다.
또한 “스타트업, 학교 등에 저렴한 가격으로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는 등 AI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대폭 확대하고 R&D(연구개발) 촉진 및 인재 확보 정책이 시행돼야 하며 AI 혁신과 이용 확산에 초첨을 둔 AI 규제체계 도입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정동 서울대학교 응용공학과 교수는 ‘범용기술의 확산과 국가의 일:AI 시대의 당면과제’를 주제로 기조 발표를 했다.
이 교수는 “국가적으로 범용기술에 선도적으로 대응한 국가가 선진국이 됐다”며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생성형 AI GPT를 적극 도입한 국가들이 AI 산업의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범용기술로서 AI의 종합적인 성장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AI 확산이 사회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등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AI 기반의 국가제체 정립이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 기술 진화에 따른 산업 생태계 변화 및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정구민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는 AI 융합에 대한 투자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교수는 “현재 생성형 AI 기술은 e커머스, 주식, 기업 운영 등 다양한 산업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다”며 “AI 기반 기술에 대한 투자도 중요하지만 AI로 전 산업에 대한 생태계 변화가 진행 중인 만큼 전 산업의 AI 융합에 대한 투자도 앞으로 매우 중요해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AI 분야의 범국가적 정책 수립을 위한 초당적 연구모임인 '코리아 AI 포럼' 창립총회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포럼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이 공동 대표를 맡았으며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야 의원 37명이 참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