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12개 초·중·고 학생 500여 명 대상 자원순환 교육
지속가능한 지구 위해 국내외 사업장서 자원순환 총력

[포쓰저널] 미래세대에게 더 나은 환경을 물려주기 위해 버려진 제품을 다시 쓸 수 있는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데 LG전자가 앞장서고 있다.
25일 LG전자에 따르면 직원들이 지난달 초부터 9월까지 인천 지역 12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500여 명을 대상으로 자원순환의 개념과 의미를 비롯해 일상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자원순환 활동을 알리고 있다.
21일 인천광역시 서구 서인천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실시한 교육에서 LG전자 임직원들은 홍수·가뭄·산불·폭염·혹한 등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는 이상현상의 원인을 짚고, 자원순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폐전자제품을 처리하는 올바른 방법을 알리며 관련 제도를 설명했다.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가전제품의 회수 및 재활용 과정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생활 속 실천을 약속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원순환 교육은 개발, 서비스, 마케팅 등 다양한 조직에서 자발적으로 모인 직원들의 참여로 이뤄진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자원한 한국영업본부 HE/BS마케팅담당 권자영 선임은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해 청소년의 기후 위기, 자원순환에 대한 청소년의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환경부 인가 비영리 공익법인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자원순환을 주제로 청소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으로 자원순환에 대한 미래세대의 인식을 제고하겠다는 취지다. 지난해에는 서울 지역 초등학생 350여명이 교육을 들었다. 올해부터는 자원순환사회연대도 참여해 이론 수업에 이어 자원순환 실습 수업도 진행한다.
LG전자는 한국환경공단, E-순환거버넌스 등과 ‘중소형 페전기·전자제품 수거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LG베스트샵 매장에 수거함을 설치해 중소형 전자제품도 수거하고 있다.
새 제품 배송·설치 시 기존 제품을 가져가는 대형 가전에 비해 낮게 집계되는 중소형 폐가전 회수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2001년부터는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폐가전을 플라스틱, 철, 비철금속 등 다양한 자원으로 분류해 재활용하는 칠서 리사이클링 센터(CRC, Chilseo Recycling Center)도 운영 중이다.
해외에서도 54개국 89개 지역(2023년 기준)에서 페전자제품 회수·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글로벌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량은 약 451만 톤에 달한다.
LG전자 CSO 이삼수 부사장은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에게 자원순환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원순환 실천방안을 교육해 지속가능한 삶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5G 특화망 사업' 본격.. LG전자, 업계 최초 국산 네트워크 장비 인증
- [현장] 단통법 폐지하면 끝?.."소비자 후생 증대 법적 장치 논의 우선해야"
- 유럽 공략..LG전자, 獨 IFA 2024서 '25인치 AI 세탁기' 공개
- LG전자 조주완 "B2B·플랫폼·신사업서 2030 매출 50%, 영업익 75% 달성"
- 폐배터리 누적 69톤 수거..LG전자, '배터리턴' 자원순환 캠페인
- "거장 작품 올레드 TV로"..LG전자, '프리즈 서울 2024' 예고영상 공개
- "Z세대 시각으로 미래고객 경험 혁신"..LG크루 4기 활동
- 가전·IoT 기기 24시간 연결...LG전자, AI 홈 허브 '씽큐 온' 공개
- '사회적 기업 민관협력 활성화' 우수..LG전자, 고용부장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