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게임이용장애 국제세미나
조문석 ”내년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록 확률 높아“
조원래 ”성급한 결정 우려..객관적으로 보고 논의해야“
앤드류 쉬비스키 “기술 사용과 의학적 중독은 다른 얘기"
마띠부오레 “질병코드 부여하면 일상적 낙인 찍는 효과"

[포쓰저널=문기수 기자]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학계·게임산업 전문가들 사이에 국내 의료계의 성급한 움직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5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게임산업협회와 함께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서 개최한 ‘게임이용장애 국제세미나’ 사전 기자간담회에서는 이같은 취지의 지적이 이어졌다.
조문석 한성대 사회과학부 교수는 WHO(국제보건기구)의 의료분류체계 방침을 추종해 내년 한국에서 게임이용장애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질병코드로 등록될 확률이 매우 높은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WHO가 발표한 의료분류체계 ICD-11에 맞춰 한국도 KCD-8(한국 표준질병·사인분류)을 개편하는 협의체가 운영되고 있다"며 "협의체 차원에서 여러 가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ICD를 거의 그대로 받아들였던 과거 추세를 따른다면, 디스오더(게임이용장애) 코드는 KCD에 등재될 확률이 굉장히 높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조현래 콘텐츠진흥원 원장은 “여러가지 논의가 오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원인과 결과를 잘못 해석해버리면 결국은 제대로된 진단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결과를 도출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옥스퍼드대학교 인간행동기술학과 앤드류 쉬빌스키 교수와 탈뷔르대학교 심리학과 마띠부오레 교수는 외국 학계에서도 게임이용장애의 질병코드 도입과 관련해 아직 많은 논의가 진행중인 상태라고 전했다.
앤드류 쉬비스키 교수는 “광범위하게 생각해보면 성인의 절반은 기술에 중독된 상태다. 기술이라는 것은 게임, 스마트폰, 소셜미디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며 "하지만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의학적으로 중독이라고 진단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다"고 했다.
이어 "영국에서는 게임을 중독물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하지만, 한편으로는 게임 중독치료센터가 생기고 있다”고 했다.
마띠부오레 교수는 “학계 분위기를 보면 여전히 연구자 사이에서 엇갈린 의견이 많다"며 "게임 과몰입, 게임이용장애에 질병코드 부여하게 된다면 일상적으로 게임하는 사람들에게 낙인이 찍힐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합의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4년간 게임이용장애 관련 연구를 해온 조문석 박사는 게임이용이 폭력 등 문제 행동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조 박사는 “4년간의 연구 결과 게임이 문제적인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명확한 결과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일반적으로 게임이용이 문제 행동의 원인이라기보다는 사회적요인, 심리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조건이 선행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기조 발제에는 콘진원 정책연구센터 산업정책팀이 나서 ‘게임이용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현황’에 대해 다룬다.
앤드류 쉬빌스키 교수는 ‘게임과몰입을 논하는 세계에서의 비디오 게임과 과학’ ▲마띠부오레 교수는 ‘연구는 비디오게임과 웰빙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한다.
콘진원은 2020년부터 4년간 실시한 ‘게임이용자 임상의학 코호트 연구’, 게임이용자 ’패널 연구‘의 연구 결과를 공유한다.
중앙대학교 정신의학과 한덕현 교수는 ’인터넷 게임 사용에 대한 4년 코호트 뇌 변화-청년을 중심으로‘를, 조문석 교수는 ‘게임이 게임행동장애의 원인인가? - 게임행동유형 변동 요인의 쟁점에 대한 실증분석’에 대해 발표한다.
관련기사
-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 "김정주·김택진·방준혁, 게임질병화 앞장서 막아야"
- 게임질병반대 공대위 "민관협의체, 인적구성 편협하고 객관성 부족"
- 게임업계 "WHO 게임 질병코드, 법적·의학적 근거 부족...ICD-11 수정 요구할것"
- 보건복지부 “6월중 WHO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록 관련 민관협의체 구성”
- [현장] "게임하면 뇌가 녹는다고?...터무니 없는 낭설"
-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막는다" 강유정 의원, 통계법 개정안 대표발의
-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2030년 결정"
- [현장] K-게임 활로는?..."모바일은 포화, 콘솔·PC·인디게임 육성해야"
- "게임은 중독물질" 성남시 공모전 돌연 중단
- [기자수첩] 실익없는 '게임의 질병화'..게임법 개정 서둘러야
- '닌텐도 스위치2' 제조 결함 논란.."ZR/ZL버튼 불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