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국가표준 시행계획 의결

[포쓰저널] 인공지능(AI), 6세대 이동통신(6G)와 같은 디지털 기술과 지능형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태양광 등의 국제·국가 표준을 만드는 데 정부가 올해 2271억원을 투입한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8개 부·처·청은 이날 국가표준심의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24년도 국가표준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계획은 제5차 국가표준 기본계획(2021∼2025년) 이행을 위한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관계부처와 민간 표준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올해 추진 과제를 선정했다.
올해 사업에는 총 2271억2900만원의 재정이 투입된다.
부처별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207억2100만원, 산업부 621억3100만원, 방위사업청 114억100만원, 중소벤처기업부 69억원, 국토교통부 51억800만원, 특허청 45억81만원 등이다.
산업부 등 7개 부·처·청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표준화에 나선다.
디지털 전략기술의 표준화를 위해 AI 신뢰성 확보와 6G 기술성능, 차세대 융합보안과 융복합 시스템 상호운용성 등을 추진한다.
국가 유망기술 가운데 지능형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스마트 제조, 차세대 디스플레이, 첨단소재 등의 표준화를 지원한다.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 친환경에너지, 바이오 연료,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표준화 등을 지원해 녹색성장을 이끌어 낸다.
과기부 등 9개 부·처·청은 기업혁신을 지원한다.
전기·생활용품 안전인증기관 확대, 첨단 분야 공인시험기관 확대, 탄소검증 국제상호인정협정 추진 등을 통해 맞춤형 시험·인증 서비스를 확대한다.
해외인증지원단 운영을 통한 해외시험기관과 상호인정 확대, 위해도 수준이 낮은 품목의 안전관리 수준 하향조정 등 기술규제 애로를 해소한다.
첨단산업 상용화를 위한 측정기술 개발, 감염병 및 만성질환 검사용 등 표준물질을 개발‧보급한다.
행안부 등 11개 부·처·청은 국민 생활 밀착형 표준화를 실시한다.
신선배송 등 유통물류 서비스 표준화, '국민 생활편의 표준협의회'를 통한 생활밀착 표준을 발굴·개발한다.
전자정부 시스템 효율화, 산업안전 보건 분야 재해예방, 즉석밥·마른김 등 식품류를 표준화한다.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로 전 연령대 데이터 확보 및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 국산 주요 목재 특성평가 데이터베이스(DB)화를 진행한다.
환경부 등 8개 부·처·청은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를 확립한다.
연구·개발(R&D) 연계 표준개발 지원, 표준특허 창출 지원, 국가R&D플랫폼과 표준성과관리시스템 연계 등으로 R&D-표준-특허 연계체계를 확보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장직 수행 등 국제표준기구 활동을 강화하고 범부처 협력형 표준 개발 사업을 운영한다.
기업의 표준·인증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e나라표준인증 플랫폼 개선, 우수기술 국제표준화 지원으로 기업 중심 표준화 기반도 구축한다.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가표준 주무부처로서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관계부처가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 기업의 혁신성장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표준의 개발·활용을 확대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