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참여 대학, 전문가 확충해 글로벌 히트펌프 클러스터 구축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LG전자가 국내 유수 대학과 손잡고 저탄소 난방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히트펌프 핵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컨소시엄을 구축했다.
LG전자는 18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신공학관에서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국민대학교와 ‘LG 차세대 히트펌프 컨소시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LG 차세대 히트펌프 컨소시엄은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전기화(Electrification)를 선도하기 위해 필요한 히트펌프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산학협력을 통해 맞춤형 인재를 육성, 학계와 기업 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냉난방 공조시장 변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전자는 해당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대학과 전문가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북미, 유럽, 아시아 등에도 컨소시엄을 추가 발족해 글로벌 히트펌프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11월 미국 알래스카주에서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Consortium for Advanced Heat-pump Research)을 발족하고 ‘LG 알래스카 히트펌프연구소’(LG Advanced Cold Climate Heat Pump Laboratory)를 신설한 것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LG전자는 글로벌 히트펌프 클러스터와 같은 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을 통해 수십 년간 쌓아온 히트펌프 기술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경쟁력을 입증해 표준 기술을 선점함과 동시에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7월 LG전자 CEO 조주완 사장이 선포한 2030 미래비전은 회사의 3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B2B(기업간 거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강조했다.
특히 B2B 사업 영역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의 경우 매출을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시켜 글로벌 탑티어(Top-Tier) 종합 공조업체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 이재성 부사장은 “이번 컨소시엄을 통해 차세대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히트펌프 기반의 난방생태계 구축에 앞장서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車 유리에 장착...LG전자, CES 2024서 '차량용 투명 안테나' 공개
- PC연결없이 OTT부터 홈오피스까지...‘LG MyView’ 스마트 모니터 2종 출시
- 24년간 이웃사랑성금 2300억원..LG, 올해도 120억원 기탁
- 인텔® 코어™ Ultra CPU 탑재.. LG전자, 2024년형 LG그램 출시
- "차별화된 고객경험"..LG전자, 제품품질평가단 '엘뷰어스' 활동 대폭 확대
- "AI로 공간 인식해 최적의 입체 음향 "..LG전자, 2024년형 사운드바 출시
- "콘텐츠 맞춰 해상도∙주사율 최적화"..LG전자, 2024년형 게이밍 모니터 공개
- 65도 고온수로 세척...'텀블러 세척기' 나온다
- Z세대 경험공간 '그라운드220' 개장..LG전자
- 탈탄소·전기화 대응..LG전자, 美 공조 시장 공략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