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AI와 소통 AR 최신 스마트 글라스 '레이-벤' , 혼합현실 헤드셋 '퀘스트3'도 공개

메타 AI 이미지./메타 홈페이지
메타 AI 이미지./메타 홈페이지

 

[포쓰저널]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모회사 메타가 SNS에 특화된 생성형 AI(인공지능)인 '메타 AI'를 공개했다. 생성형 AI를 둘러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게 됐다.

메타는 27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 본사에서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메타 커넥트 2023'을 열고 챗GPT와 유사한 기능의 '메타 AI'를 공개했다.

28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엔 '책임감있는 생성형 AI 구축'이라는 글을 게시, 메타 AI의 안전장치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메타 AI'는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메신저 등 메타의 SNS 제품에서 텍스트 입력으로 구동하는 AI 비서다. SNS상에서 상대방과 대화 중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대답해준다.

친구들이 함께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그룹 채팅에서 AI 어시스턴트에게 액티비티와 맛집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고 메타는 소개했다. 또 선생님이 AI를 사용해 개별 학생의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맞는 수업 계획을 세울 수도 있다고 했다. 

이 대화형 AI는 친구 및 가족과의 그룹 채팅에서 "@Meta AI"를 호출하는 메시지만 읽는다. 채팅 내 다른 메시지에 접근하지 않는다.

'메타 AI'는 미국에서 테스트 버전으로 우선 제공될 예정이다.

'메타 AI'는 메타의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라마 2'를 기반으로 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제휴해 MS의 검색 엔진 빙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AI 발전으로 이용자들은 다양한 AI를 이용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며 "우리는 이용자들이 각자가 하고 있는 일을 위해 여러 AI와 상호 작용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메타는 이와 함께 스포츠 스타와 할리우드 스타 등 28명의 캐릭터를 이용한 각각의 개성있는 AI 챗봇도 출시할 예정이다.

전 미식축구 유명 쿼터백 톰 브래디, 패리스 힐튼, 래퍼 스눕 독 등이 AI의 얼굴 표정으로 등장해 이용자들은 유명인들과 대화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5초 안에 사진 속 배경을 바꾸어주는 등 이미지를 편집해 주는 AI 모델도 공개됐다. 이날부터 다음달에 걸쳐 영어권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메타는 이날 또 3차원 이미지를 정밀하게 구현한 증강현실(AR) 최신 스마트 글라스 '레이-벤'(Ray-Ban)도 이날 공개했다.

최신 AR 스마트 글라스 레이-밴./메타
최신 AR 스마트 글라스 레이-밴./메타

 

레이-밴은 페이스북이나이 인스타그램으로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음성만으로 "Hey Meta"를 사용해 '메타 AI'와 소통할 수 있다. 

향상된 오디오 및 카메라, 150개 이상의 다양한 맞춤형 프레임 및 렌즈 조합을 갖췄으며 내달 17일부터 299달러부터 판매한다.

생성형 AI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오픈 AI의 챗GPT를 시작으로 MS와 구글이 각각 '빙'과 '바드 챗봇'을 출시했으며, 모바일 메신저 스냅챗과 스타트업 캐릭터 AI도 자체 AI 챗봇을 내놨다. 

여기에 챗GPT가 최근 음성 대화 및 이미지 인식 기능을 탑재하고 아마존은 음성 대화가 가능한 '알렉사'를 선보였다.

3년 만에 첫 대면으로 치러진 이날 행사에서 메타는 또 혼합현실(MR) 헤드셋 '메타 퀘스트3'의 본격적인 출시도 알렸다.

 

메타 퀘스트3/메타
메타 퀘스트3/메타

'퀘스트3'에는 지난해 출시한 고급 모델 '퀘스트 프로'에 처음 사용됐던 광학 장치인 '팬케이크 렌즈'가 탑재돼 이전 제품보다 해상도가 더 높아졌다.

가격은 499달러(약 67만500원)부터 시작하며, 내달 10일부터 배송이 시작된다.

애플은 공간형 컴퓨터라고 부르는 MR 헤드셋인 3499달러짜리 '비전 프로'를 지난 6월 선보인 바 있다. 내년초 본격 출시한다.

메타의 지난해부터 올해 2분기까지 메타버스 투자로 발생한 손실은 213억 달러(28조8400억원)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