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UAM 전용 항공지도' 제작, 유관기관 등에 배포
수도권 실증노선 장애물,비행제한 공역,건물 높이 등 수록

도심항고교통(UAM) 아라뱃길 실증노선 항공지도. /국토교통부.
도심항고교통(UAM) 아라뱃길 실증노선 항공지도. /국토교통부.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2025년 상용화를 앞둔 드론택시 등 도심항공교통(UAM)에 쓰일 전용 항공지도가 국내서 처음으로 제작돼 유관 기관 등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국내 최초로 'UAM 전용 항공지도'를 만들어 국방부, 지방자치단체, 드론협회 등에 무상으로 배포한다고 13일 밝혔다.

UAM은 전기동력·저소음 항공기, 수직이착륙장(버티포트) 기반 차세대 첨단교통체계를 말한다.

국토부는 UAM 전용 항공지도 300개를 주요 공공기관, 지자체 및 한국드론활용협회 등에  순차적으로 배포할 계획이다.

항공정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하면 누구나 내려받을 수도 있다.

이 지도에는 5월 발표된 'UAM 2단계 수도권 실증노선(아라뱃길·한강·탄천)' 중심으로 주요 장애물(고압선, 철탑 등), 비행제한·금지 공역, 건물 높이 정보 등이 수록돼 있다.

국토부는 UAM 실증사업 참여자 등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효과적이고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해 군·민간(드론협회 등), 지자체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국민디자인팀'을 구성해 맞춤형 항공지도 제작을 추진해 왔다.

지도 앞면에는 수도권 내 7개의 버티포트로 구성된 UAM 전체 실증노선, 뒷면에는 3개 실증 노선별로 확대된 지도를 수록했다.

주요 범례, 주요 연락처 등 수록 정보를 시인성·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위치에 배치했다. 

김상수 국토부 항공교통본부장은 "도심항공교통 맞춤형 항공지도가 2025년 상용화 대비 실증사업 본격 진행에 활용되도록 관련 민간·공공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구축하고 지원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