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유착 우려 다시 고조

[포쓰저널] 삼성이 7년만에 다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삼성준법감시위원회는 18일 서울 서초구 삼성서초사옥 내 위원회 회의실에서 임시 회의를 열고 전경련 후신인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삼성 관계사의 가입 여부에 대해 논의한 결과, '조건부 재가입'을 권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준법위는 "이번 논의 이전에 지난달 전경련이 관계사에 보내 온 공문과 혁신안 이외에 혁신의 구체적 내용과 향후 실천 절차, 회계 투명성 등 운영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 방안을 추가로 확인한 후 보고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에 대한 보고를 바탕으로 수차례 심도있는 논의를 했다"고 했다.
이어 "위원회로서는 현재 시점에서 전경련의 혁신안은 선언 단계에 있는 것이고 실제로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과 확고한 의지가 있는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 없어, 한경협이 과연 정경유착의 고리를 완전히 단절하고 환골탈태할 수 있을 지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입장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경협 가입 여부는 제반 사정을 신중하게 검토해 관계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이 최종적으로 결정할 문제이나, 위원회는 그동안 노력해 온 삼성의 준법경영 의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일 관계사가 한경협 가입을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는 경우 즉시 탈퇴할 것 등 필요한 권고를 했다"고 밝혔다.
삼성이 준법위 권고대로 전경련에 복귀할 경우 재벌과 정치권력 간 정경유착 우려도 다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의,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등이 경제계를 대변해 활동 중인데 굳이 대기업 위주 조직인 전경련이 별도로 필요한 지에 대한 의구심도 적지 않다.
전경련은 1961년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한국경제인협회로 출발해 일본의 게이다렌(경단련)을 모델로 삼성 창업자인 고 이병철 회장 등이 주도해 창립한 민간경제단체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당시 전경련이 미르재단, K스포츠재단 설립자금의 기업 불법 모금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재벌그룹들이 집단 탈퇴하면서 위상이 급속히 쪼그라들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6년 12월 6일 국정농단 사건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삼성 미래전략실 해체와 함께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대국민 약속을 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