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사 자율 결정...정경유착 등 본래 목적 위반할 경우 즉시 탈퇴 권고"
이찬희 위원장 "최고 권력자와 가깝다고 평가받는 분, 관여하고 있다"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삼성준법감시위원회가 한국경제인협회의 회비 납부와 관련해 삼성 각 관계사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하도록 권고했다.
삼성그룹이 한경협에 재가입한 지 약 1년 만에 회비 납부를 사실상 승인한 것이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한경협의 정경유착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판단을 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준감위는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정기 회의에서 삼성전자·삼성SDI·삼성생명·삼성화재 등 4개 관계사의 한경협 회비 납부 건을 논의했다.
준감위는 회의 후 낸 보도자료에서 "현재 한경협의 정경유착 고리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 어려운 점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한경협이 이러한 우려를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했다.
이어 "다만, 위원회는 그동안 한경협이 투명한 회비 집행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과 회원으로서 의무인 삼성 관계사의 회비 납부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회비 납부 여부는 관계사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하되 지난해 관계사의 한경협 회원 가입 당시 권고한 바와 같이 앞으로 한경협에 납부한 회비가 정경유착 등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사용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즉시 탈퇴할 것 등을 관계 사에 다시 한 번 권고했다"고 했다.
이찬희 위원장은 이날 회의 전 취재진에 "한경협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확실하게 끊을 수 있는 인적 쇄신이 됐는지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의문을 갖고 있다"고 했다.
그는 "정치인 출신, 그것도 최고 권력자와 가깝다고 평가받는 분이 회장 직무대행을 했다는 것도 상식적으로 이상한데 임기 후에도 계속 남아서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김병준 한경협 고문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됐다.
김 고문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을 맡았고 직무대행 임기가 끝난 뒤에도 고문으로 남아 활동하고 있다.
한경협은 3월 말부터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을 포함한 420여개 회원사에 회비 납부 공문을 발송했다.
지난달 초 현대차그룹이 4대 그룹 중 가장 먼저 회비를 납부했고 지난주 SK그룹이 회비 납부에 동참했다.
삼성과 LG는 아직 회비를 납부하지 않았다.
LG그룹 역시 회비 납부를 놓고 내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대 그룹이 속한 제1그룹의 연회비는 각 35억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