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서울 시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요 은행들의 현금인출기. /사진=연합뉴스
4일 오전 서울 시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요 은행들의 현금인출기. /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은행권 금리·수수료 담합 혐의와 관련해 타깃을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으로 좁혀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정위는 12일부터 이들 4대 시중은행에 대해 현장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조사는 14일까지로 예정돼 있지만 추가 연장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는 2월 말 진행한 1차 조사에서는 이들 4개 은행에 NH농협은행을 포함한 5대 시중은행과 국책소매 은행인 IBK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을 대상으로 했다.

공정위는 2차 조사에서도 1차 때와 마찬가지로 수수료와 대출 금리 등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은행 관계자는 "현장조사가 14일로 예정돼 있는 데 추가 조사할 내용이 있으면 연장한다는 것까지 파악됐다"고 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세부내용은 알수 없지만 2월 조사의 연장선이라고 들었다"고 말했다. 

공정위 조사는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 과점 폐해를 줄이라고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해석된다. 

금융위원회 주도로 추진 중인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3년 고정), 우대금리 등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이번 조사를 압력수단으로 이용한다는 볼멘소리도 은행권에서 나오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내용대로라면 가입자가 많을수록 은행 손실이 커지는 구조라는 분석이 있다.

각 은행은 이날 오후 3시 은행연합회를 통해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와 우대금리 조건 등을 확정, 공지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