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LG유플러스는 중대 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한 '스마트 안전장구'의 사용성을 향상하고 산업안전 솔루션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에 본격 나선다고 7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약 3개월 동안 스마트 안전 장구를 직접 착용하고 설치 작업을 해 온 현대엘리베이터 근로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스마트 안전장구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다.
안전벨트 센서에 작업모드(고소‧일반)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이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화면을 추가해 편의성을 더했다. 장갑을 끼고 설치 작업을 하던 중 전용앱을 실행해 작업모드를 바꾸기가 번거롭다는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또한 얼굴형에 따라 안전모의 착용감이 이질적이라는 의견을 수렴, 턱끈 센서의 사이즈를 축소하고 센서의 위치를 얼굴 밑 또는 측면 중 개인이 선택할 수 있도록 재설계했다.
뿐만 아니라 어떠한 연령대의 설치 근로자도 쉽게 스마트 안전장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작업자 전용 앱을 사용자 친화적인 UI(사용자인터페이스)‧UX(사용자경험)로 개편했다. 작업자 사용 가이드 영상, 대고객용 사용자 매뉴얼 등도 추가 제작했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사용성 개선을 토대로 올해 스마트 안전장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 안전장구는 LG유플러스가 지난해 1월부터 현대엘리베이터와 공동 개발한 솔루션이다. IoT(사물인터넷) 센서 3종(안전모·안전고리·안전벨트)과 비콘 센서, 작업자 전용 앱, 관제 플랫폼으로 구성됐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10월 자사의 설치 근로자 전원에게 안전 장구를 보급, 근로자가 고소(高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은 "현대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손쉽게 스마트 안전장구를 사용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산업에서 스마트 안전장구를 도입할 수 있도록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중대재해 예방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작년 영업익 1조원 첫 돌파
- LG U+·LS일렉트릭, 중소·중견기업 스마트팩토리 확산 맞손
- LG U+, '갤럭시 S23 시리즈' 팝업스토어 운영
- LG유플러스, 임직원 참여 '체험형 봉사활동' 확대
- LG유플러스, 작년 배당금 주당 650원...전년比 18%↑
- LG유플러스, 중소 알뜰폰 전문매장 '알뜰폰+' 전국 확대
- LG U+, 멤버십 회원 대상 신라인터넷면세점 할인 프로모션
-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 클럽' 9년 연속 수상
- LG유플러스 '교양있고' 론칭.. 미드폼 아이돌 예능
- LG유플러스, UAM 스타트업 플라나와 데이터 전송 공동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