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트랙스 크로스오버' 1분기 내 국내 출시
전기차 캐딜락 리릭 연내 국내 출시, 2025년까지 전기차 10종 도입
동서울서비스센터 신축, 온스타 도입 등 혁신적 고객 서비스 강화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한국GM이 올해 글로벌 전기차 신차 출시와 비용 최소화, 생산 최대화를 통해 사업 효율성 증대에 집중해 흑자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한국GM은 30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글로벌 출시, 얼티엄 기반의 전기차 캐딜락 리릭 연내 국내 출시, 2025년까지 전기차 10종 도입 등 올해 주요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GM이 밝힌 2023년 주요 사업 전략에는 ▲2023년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의 전 세계 출시 ▲내수시장에 새로운 쉐보레 브랜드 전략 도입 ▲GMC 도입을 통해 확대되는 멀티브랜드 전략 ▲정통 아메리칸 스타일의 차량 6종 국내 출시 ▲얼티엄 기반의 첫번째 전기차 연내 출시로 전기차 포트폴리오 확장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 강화 ▲미래 모빌리티 기반 새로운 고객 경험 확대 등이 포함됐다.
이날 실판 아민 GM 수석 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제너럴 모터스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플랫폼 혁신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6년 전 발표된 트리플 제로(Triple Zero) 비전을 기반으로 다양한 가격대, 스타일을 갖춘 포괄적인 EV(전기차) 포트폴리오를 통해 모두에게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 시장에서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가 거둔 괄목할 만한 성공에 이어,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역시 이미 미국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또 하나의 성공모델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연내 출시될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GM은 올해 1분기 창원공장에서 생산 예정인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 오버를 전세계 출시한다. 쉐보레, 캐딜락, GMC 등 브랜드 전반에 걸쳐 6종의 신차 및 부분변경 모델도 출시한다.
2분기 내로 부평·창원·보령 공장의 생산능력을 연간 50만대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한국GM은 신차 출시를 통해 올해 적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로베르토 렘펠 한국GM 사장은 “2023년, 제너럴 모터스는 매우 야심찬 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는 이미 성장을 위한 기반을 확실하게 마련했으며, 이제 2023년 흑자전환과 이후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에이미 마틴 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해에는 지속적인 비용 절감, 수익성 있는 글로벌 차량 라인업의 확장, 환율 효과 등을 통해 재무실적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뤄냈으며, 이를 통해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예상한다”며 “2023년에도 재무실적에서 긍정적인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용 전기차 플랫폼 ‘GM 얼티엄 플랫폼’을 국내 도입하고 얼티엄 플랫폼 기반 첫 전기차 캐딜락 리릭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2025년까지 10종의 전기차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
한국GM은 고객 서비스도 강화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GM의 입지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직영정비사업소인 동서울서비스센터를 재건축하고, 400여 개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영해 수입차 시장에서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애프터마켓 부품 및 정비 서비스 네트워크 ‘에이씨델코 론치’도 도입한다. 또 GM의 핵심 제품을 소개하는 통합 브랜드 하우스를 개소하고, 온라인 차량 판매도 확대한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상태 확인과 원격 제어가 가능한 커넥티비티 서비스 '온스타'를 연내 도입하고, ‘디지털 비즈니스팀’도 신설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