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사피온·신재생에너지가상발전소 등 소개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SK텔레콤이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3’에서 넷제로(Net Zero, 탄소 순배출량 0) 달성을 위한 그린 ICT(정보통신기술)를 선보인다.
내년 1월 5일(현지 시간)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글로벌 IT(정보기술)·가전 전시회에서 CES 2023에서 SK계열사들과 ‘2030 넷제로를 위한 행동’을 주제로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공동 전시관은 CES 2023 행사장(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 내 센트럴 홀(Central Hall)에 약 1200㎡ 규모로 마련된다. 8개 SK계열사들이 넷제로 주제의 다양한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도심항공교통(UAM), AI(인공지능) 반도체 ‘사피온’, 신재생 에너지 가상 발전소 등을 전시한다.
SK텔레콤은 국토교통부 주관의 민관협의체인 ‘UAM 팀 코리아’의 원년 멤버로서 지난해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한국교통연구원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올해에는 UAM 기체 제조 분야 선도기업인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국내외 파트너들과 UAM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피온은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하고 올 초 SK텔레콤·SK스퀘어·SK하이닉스가 총 800억원을 투자, 별도 법인을 설립해 사업을 추진 중인 시스템 반도체다.
인공지능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 저전력으로 실행하는 것이 특징으로 기존 GPU(그래픽 처리 장치) 대비 연산 속도는 1.5배 빠르면서 전력 사용량은 80%에 불과하다.
사피온의 첫 제품인 ‘사피온 X220’은 최근 AI분야의 대표적인 벤치마크(성능 테스트) 대회인 ‘엠엘퍼프’(MLPerf)에서 기존 제품 대비 2.3배에서 최대 4.6배의 높은 성능을 기록한 바 있다. 사피온은 성능과 연산 정확도를 향상시킨 후속 모델 ‘X300’ 시리즈 제품을 2023년에 출시할 예정이다.
가상 발전소는 개인이나 사업자가 태양광이나 풍력 등을 활용해 생산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플랫폼으로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SK텔레콤은 9월 SK에너지, 한국전기연구원, 스타트업과 협력해 미래 가상 발전소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 등 ICT 기술을 활용해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과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전력 생산, 소비, 거래가 가능한 가상 발전소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CES에서 SKT는 ICT 대표 기업으로서 넷제로 달성을 위한 그린 ICT를 선보인다”며 “CES를 통해 SK텔레콤의 친환경 기술을 제대로 알려 전 세계가 함께 넷제로 달성에 동참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T, 부산·BIFC 입주 기관 등과 '일회용컵 제로' 시범운영
- SK텔레콤, 글로벌 행사서 '오픈랜 장비·기술력' 실증 결과 발표
- SK텔레콤, '다이렉트 플랜'으로 온라인 요금제 개편.."고객 선택권 강화"
- SKT, DJSI월드 지수 14년째 편입..국내 최장
- SK텔레콤 'UAM 연동 기술', 글로벌 표준 과제로 승인
- SK텔레콤, 텔레컨스와 차량용 AI 탑재 T HUD 서비스 출시
- "우유·치약·커피·과일 정기배송"...SK텔레콤, 구독 서비스 개시
- SK텔레콤 5G MEC, 세계 최대 방송시장 북미 진출
- [신년사] SKT 유영상 “AI 컴퍼니 도약·전환 원년”
- SK텔레콤, 키즈용 스마트폰 'ZEM 꾸러기 포켓몬 에디션'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