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서울 강남구 양재 사옥./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기아 서울 강남구 양재 사옥./사진=현대자동차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현대자동차 최근 미국에서 발효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방안과 관련해 “배터리 부품의 안정적 조달을 위해 (미국 현지에) 전기차 배터리 합작 법인 설립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24일 서강현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부사장)은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이같이 말했다.

서 부사장은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등을 목표로 하는 바이든 정부의 IRA 법안은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들에게 리스크로 해석된다”며 “미국 시장은 현대차의 2030년 전기차 187만대 판매 목표 중 28%를 차지하는 주요 시장인 만큼 시장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정부의 협조를 구하는 동시에 탄력적인 중장기 방안을 검토해 미국 내 전동화 전환 목표를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조지아주에 들어서는 전기차 전용 신공장은 25일(현지시간) 기공식이 예정돼 있다”며 “2025년 초 (전기차)양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판매는 미국 시장과 경쟁사 상황 등을 감안해 탄력적인 가격과 판매 채널 정책을 수립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부사장은 또 “배터리 부품의 경우 전동화 전환의 핵심 부품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미국 현지에) 합작 법인 설립을 포함해 다각적인 현지화 대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특히 배터리 밸류체인의 경우 향후 미국 외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규제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해당 지역 내 공급망 검토 및 주요 부품 리사이클링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원소재의 경우 강화된 환경규제에 맞춰 친환경 기술기반 주요업체의 투자 및 협력을 적극 확대해 지속 가능한 공급망으로 소재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향후 법안의 세부 규정과 미국 내 당사의 판매 상황을 고려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추진하고 전동화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