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표 초청해 제조혁신 노하우 공유

중소기업 대표와 관계자들이 2일 삼성전자 광주캠퍼스에서 열린 '2022년 스마트공장 킥오프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삼성전자
중소기업 대표와 관계자들이 2일 삼성전자 광주캠퍼스에서 열린 '2022년 스마트공장 킥오프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삼성전자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삼성전자는 2일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에 선정된 중소기업 대표와 관계자 등 300여 명을 삼성전자 광주캠퍼스로 초청해 '2022 상생형 스마트공장 킥 오프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시작하는 중소기업 대표들이 삼성전자의 제조 현장을 직접 보고 체험하며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먼저 진행된 스마트공장 우수기업 사례를 공유하며 혁신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마련됐다.

중소기업 대표들은 이날 생활가전 제품을 생산하는 삼성전자 광주캠퍼스 에어컨, 냉장고, 콤프레셔 등 생산라인을 둘러보며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생산 시스템 운영 △자동화 설비 △전동운반차 등 물류개선 △공정별 간이자동화 등 현장 혁신 사례를 직접 보고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삼성전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스마트공장지원 이상훈 센터장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가이드'를 주제로 한 특강에서 중소기업별로 업종과 규모 등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이 센터장은 전 공정의 정보를 AI와 연계된 시스템이 빅 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해 예측해 실시간으로 생산공정을 제어하는 '지능형 공장' 추진 방안도 참석자들과 공유했다.

지난해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을 받은 업체 중 성공 사례로 꼽히는 △도금업체 '동아플레이팅' △비데 제조업체 '에이스라이프' △두부과자 제조업체 '쿠키아' 등 총 3개 기업의 성공 사례도 소개됐다.

이들 업체는 이날 행사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킥오프 행사'에는 조주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민형배 광주 광산구을 의원,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 임경준 광주전남중소기업회장, 김영환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은 "삼성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성장 할 수 있는 강건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삼성의 제조혁신 기술과 성공 노하우를 제공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2018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삼성전자와의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제조현장 혁신, 공장운영 시스템 구축, 제조 자동화 등 분야에서 총 200여명의 사내 전문가를 선발, 각 기업별 상황에 맞게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다.

지원이 완료된 후에도 '스마트365센터' 운영을 통한 사후관리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자사가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 기업은 총 2811여 개다. 올해 지원받을 예정인 약 270개사를 포함하면 3000개 사가 넘는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