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분야 역량 보유 정부 출연 연구원 6곳과 협약

현대차 로보틱스 비전./사진=현대차·기아
현대차 로보틱스 비전./사진=현대차·기아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현대차·기아는 달 표면 탐사 모빌리티 개발을 위해 항공·우주 역량을 보유한 국내 6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들과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의체는 앞으로 달 탐사 모빌리티에 요구되는 기술을 개발하고, 모빌리티를 달에서 운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현대차·기아는 회사의 미래 기술 역량을 하나로 모아 협의체를 지원하게 된다.

현대차·기아는 로봇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로보틱스랩을 포함해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설계 분야 ▲우주 환경 대응 분야 ▲탐사 임무 수행을 위한 특수장비 분야 등 핵심 인력들로 협의체 조직을 구성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르면 8월에 협의체 소속 연구 기관들과의 공동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다자간 협약은 우리나라 우주 기술 발전을 위해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기업이 보유한 역량을 총동원하고 관련 분야의 기술을 융합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달 표면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 운용이 가능한 모빌리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현재 보유한 기술의 내구성과 완성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그동안 현대차·기아가 고객들에게 제시해왔던 로보틱스와 메타모빌리티에 대한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첫걸음을 내디딘 셈”이라며 “언젠가 우리에게 다가올 필연적인 미래를 선제적으로 대비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우주 시대의 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힘쓰고, 나아가 인류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해 인류의 진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에서 인간의 이동 경험을 혁신적으로 확장시켜 주는 ‘메타모빌리티(Metamobility)’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2월에는 현대차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운영하는 미래 모빌리티 개발 조직,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가 개발한 무인 탐사로봇, ‘파라클레트(Paraklete)’의 우주 탐사 비전을 담은 이미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