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분쟁 해결률도 KT가 가장 높아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올해 상반기 방송통신위원회가 접수한 통신 분쟁 신청 중 KT 관련 사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방통위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통신분쟁조정 처리 결과’에 따르면 방통위 통신분쟁조정위원회는 상반기 총 477건의 통신분쟁조정 신청을 받아 312건을 처리했다.
이 중 84.3%인 263건이 합의 또는 수락 등으로 해결됐다. 이는 2021년 상반기 해결률 72.7%보다 11.6%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종결된 미해결률은 15.7%로 전년도 상반기(27.3%)에 비해 줄었다.
상반기 통신분쟁 신청이 가장 많은 통신사는 KT으로 총 194건을 기록했다.
무선부문 분쟁의 경우 KT 141건(39.9%), SK텔레콤 102건, LG유플러스 56건이었다.
가입자 10만명 당 신청건수 또한 KT가 0.8건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유선부문도 KT가 53건(42.7%)으로 가장 많았지만 가입자 10만명 당 신청건수는 SK브로드밴드가 0.5건으로 가장 많았다.
통신분쟁 유형별(유·무선 전체)로는 이용계약 관련(41.5%)과 중요사항 설명·고지 관련(41.5%)이 가장 많았고 서비스 품질(13.8%)이 뒤를 이었다.
전체 신청건수(477건) 중 197건(41.3%)은 손해배상을 요구했다.
사업자별 통신분쟁 해결률은 무선부문의 경우 KT가 87.5%로 가장 높았으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77.4%, 76.3%를 기록했다.
유선부문의 경우 KT와 LG유플러스가 93.7%로 가장 높았고 SK텔레콤(83.4%)과 SK브로드밴드(78.9%)가 뒤를 이었다.
상반기 5G 관련 통신분쟁 신청은 218건으로 전년 상반기(76건)와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5G 통신분쟁 해결률은 84.7%로 작년 상반기(44.7%)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통신분쟁조정위원회는 분쟁조정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6월부터 신청인이 원하는 경우 통신품질 분쟁 건에 대해 현장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통신분쟁 조정 대상에 앱마켓 이용 관련 분쟁이 포함됨에 따라 앱마켓 특위를 구성·운영하고 앱마켓 분쟁조정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