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텔레콤
/사진=SK텔레콤

[포쓰저널=신동혁 기자] SK텔레콤은 서울시, 행복커넥트 등과 함께 운영 중인 다회용 컵 시범사업의 컵 반납률이 70% 수준이라고 24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서울시와 함께 지난해 11월6일부터 올해 3월20일까지 서울시내에서 다회용 컵 시범사업을 진행한 결과, 총 44만5000개의 다회용 컵이 이용됐다고 밝혔다. 반납률은 1월 말 79%를 기록, 꾸준히 70% 후반대를 유지했다.

다회용 컵 서비스는 고객이 보증금 1000원을 내고 다회용 컵에 음료를 받아 매장 안팎에서 이용한 뒤 무인 다회용 컵 반납기를 통해 보증금을 환불받는 시스템이다. 다회용컵은 서비스 운영업체의 전문 세척을 거쳐 재사용된다.

다회용 컵 반납률은 보증금을 내고 대여한 다회용 컵을 반납한 비율로, 환경 보호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지표로 평가된다.

독일의 친환경 도시 프라이부르크에서는 시 전체 카페의 70%가 일회용컵 보증금 서비스 ‘프라이부르크 컵’에 동참하고 있다. 반납율은 약 85% 수준이다.

서울시 다회용 컵 반납률은 시범사업 시행 초기인 지난해 11월 초에는 46.9%였으나, 올해 들어서는 꾸준히 70%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1월 마지막 주에는 79.5%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번 다회용 컵 시범사업에는 스타벅스와 달콤커피 등 19개 매장이 참여했다. 반납기는 16대를 설치해 총 44만 5천개의 일회용 컵을 절감했다.

다회용 컵을 70회 이용할 시, 소나무 한 그루가 약 1년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친환경적인 요소 외에도 세척 인력 일자리가 창출되는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나타난다.

SK텔레콤은 비전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무인 반납기가 다회용 컵을 정확하게 구분·반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환경보호서비스 앱인 ‘해피해빗’ 등을 핵심 인프라로 구축해 운영 중이다.

4월부터 전국에서 시행되는 ‘식품접객업소 등 매장 내 1회 용품(플라스틱 컵 등) 사용금지’ 조치에 따라 다회용컵 이용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다회용 컵의 생산 및 제공·회수·재활용을 위해 ‘해빗에코얼라이언스’를 운영하고 있다.

해빗에코얼라이언스에는 환경부, 서울시, 스타벅스코리아, 교보생명, GS칼텍스, 달콤, KB금융그룹, 태광그룹 총 51개의 기관·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박용주 SK텔레콤 ESG담당은 “해피해빗 서울시 시범사업이 반납률 80%에 육박하는 등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며 “사업 지역 확대, 반납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반납률을 지속적으로 높여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문제를 해결하는 국민참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