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도톱소와 생산설비 표준 모듈화 업무협약
핵심 공정 모듈화로 세계시장 동반 진출

 23일 서울 종로구 GS건설 본사에서 진행된 '바이오디젤 생산설비 표준 모듈화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조성한 GS건설 플랜트부문대표(왼쪽)과 소렌 셀데 에너볼슨 할도톱소 재생에너지 영업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GS건설
 23일 서울 종로구 GS건설 본사에서 진행된 '바이오디젤 생산설비 표준 모듈화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조성한 GS건설 플랜트부문대표(왼쪽)과 소렌 셀데 에너볼슨 할도톱소 재생에너지 영업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GS건설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GS건설이 전문업체와 손잡고 바이오디젤 글로벌 시장 선점에 나선다. 

GS건설은 23일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본사에서 조성한 GS건설 플랜트부문대표와 소렌 셀데 에너볼슨 할도톱소 재생에너지 영업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디젤 생산설비 표준 모듈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바이오 디젤은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을 원료로 만든 무공해 연료다. 디젤자동차의 경유에 혼합해서 쓰거나 100% 순수연료로 사용된다. 

미국, 유럽연합 등에서는 이미 품질기준이 마련돼 있으며 국내에서도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섞은 연료가 판매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GS건설은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의 선두기업인 할도톱소가 보유하고 있는 핵심 공정 ‘하이드로플렉스(HydroFlexTM)’ 기술 생산설비를 표준화해 모듈화한다.

할도톱소의 하이드로플렉스(HydroFlex™)기술은 식물성 기름, 콩기름 등의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를 제트 연료유나 디젤 등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플랜트 모듈화는 현장에서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핵심 플랜트 공정을 표준화된 하나의 모듈로 제작해 현장에서 설치만 하면 되도록 사전 제작하는 방식이다.

기후 등 작업환경에 따른 변수가 낮고 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어 기술집약형 친환경 플랜트 사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할도톱소는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GS건설은 대규모 정유화학플랜트 사업으로 축척 된 모듈화 기술력을 통해 설계, 시공을 표준화함으로써 투자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GS건설은 이번 협약으로 표준화된 모듈을 개발해 할도톱소와 국내외 바이오디젤 시장에 동반 진출할 방침이다.

GS건설은 1월 그린수소 플랜트에 이어 바이오디젤 모듈화까지 신재생에너지 모듈화 사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할도톱소는 덴마크 기업으로 화학·석유사업에서 세계적인 탄소저감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최근 북미, 유럽 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전환 기술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

GS건설 담당자는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바이오디젤 분야의 선도 기업과 파트너십을 구축하면서 친환경 에너지 모듈화 사업을 더욱 확대할 발판을 마련했다”면서 “이번 사업을 계기로 GS건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선도기업으로 친환경 신사업 확대를 통한 지속가능경영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