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공장 ‘혐기성 소화조’로 교체해 온실가스 4020톤↓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의 고효율 폐수처리시설 ‘혐기성 소화조(IC Reactor)/사진=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의 고효율 폐수처리시설 ‘혐기성 소화조(IC Reactor)/사진=하이트진로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하이트진로는 공장 내 폐수처리 설비를 ‘혐기성 소화조(IC Reactor)’로 교체해 2년 동안 강원공장에서만 온실가스 약 4020톤을 감축하는 효과를 거뒀다고 13일 밝혔다.

혐기성 소화조는 맥주를 생산할 때 배출되는 부산물과 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해 정화하는 시스템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보일러 등의 연료로 재사용해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는 친환경 폐수처리 시스템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하이트진로는 1992년 맥주 공장에 폐수처리를 위한 소화조를 설치하고 환경을 고려한 생산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설비를 지속적으로 교체하며 폐수처리 능력을 향상시켰다. 2009년에는 맥주업계 최초로 혐기성 소화조를 전주공장에 도입해 폐수처리 효율을 매년 60% 이상 개선해왔다.

이어 2019년 강원공장에 대규모 혐기성 소화조 설비를 도입했다. 강원공장은 지난 2년간 ▲폐수처리효율이 기존 55%에서 87%로 향상 ▲발생 폐기물 40% 이상 감소 ▲정화 과정 중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량 3배 이상 증가하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하이트진로는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를 재사용해 기존 LNG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감소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하이트진로는 혐기성 소화조 운영의 핵심인 양질의 미생물을 추가로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하이트진로는 이를 필요한 사업장에 분양, 판매해 안정적인 친환경 폐수처리 환경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전주공장은 6년간 2700톤, 강원공장은 올해만 400톤의 미생물을 판매했다.

하이트진로 김인규 대표는 “하이트진로는 제품의 생산 단계부터 ‘청정’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친환경 사업장으로 변화하는데 앞장서왔다”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고민하며 지속가능한 친환경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