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백개 농가와 협력해 지역 경제 활성화.."농가 폐기 부담 완화, 물가 안정 기여"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판매가 8000t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를 본격적으로 매입하기 시작한 첫해인 2023년 1500t, 지난해 3700t, 올해(1~10월) 2800t 이상을 전국 지역 농가에서 직접 매입했다.
매입 물량을 매년 꾸준히 늘린 결과 최근 3년간 누적 규모는 8000t을 넘어섰다.
현재 전국 각지의 농가와 협력해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약 20종의 채소를 취급 중이다.
못난이 채소 매입 지역으로는 강원 평창·정선·태백·홍천, 충북 괴산, 충남 논산·부여, 전북 고창, 전남 해남·함평·화순, 경북 상주·의성 등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인구감소지역이 대거 포함됐다.
쿠팡은 이를 포함해 제주까지 전국 수백 개 농가의 못난이 채소를 매입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러한 채소를 직매입해 평균 20%가량 저렴한 가격에 제공해 고물가 시대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는 것이 쿠팡의 설명이다.
쿠팡은 복잡한 중간 유통 단계를 없애고 산지에서 직매입한 채소를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 후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고객에게 전달한다. 산지 직거래 구조를 통해 농가의 물류비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에게는 신선한 농산물을 더 저렴하고 빠르게 제공한다.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나주·화순)은 "쿠팡의 못난이 채소 매입은 인구감소지역이 많은 전남 농가의 물류비 부담를 줄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모범 사례"라며 "쿠팡의 물류·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어 선순환 구조를 만든 만큼 앞으로도 전남을 포함한 산간·농촌 중심으로 협력 농가 확대가 활발히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쿠팡은 향후 산간 및 농촌 지역 중심으로 협력 농가를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쿠팡 관계자는 “쿠팡의 물류와 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를 넓히고 고객에게는 신선하고 합리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