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서남권 AI DC 확장…글로벌 진출과 엣지 AI로 국가대표 AI 사업자 목표"
"국내 최대 GPU 클러스터 '해인' 구축…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본격화"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정재헌 SK텔레콤 대표가 3일 취임 첫 일정으로 나선 ‘SK AI 서밋 2025’ 키노트에서 AI 인프라 확장 전략을 발표했다.
정 대표는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대한민국이 AI 인프라 경쟁에서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AI 고속도로 구축을 통해 국가대표 AI 사업자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AI 혁신을 논의하는 이 중요한 자리에서, 여러분께 처음으로 인사 드리게 된 것은 개인적으로는 기쁘고 또 영광스럽다”며 취임 인사를 대신했다.
정 대표는 올해 인프라 부문에서 SKT의 성과를 재조명했다.
정 대표는 “지난 6월 아마존과 공동으로 약 7조원을 투자해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역사적인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는 SK그룹의 전력과 시공, 메모리 기술 등 핵심 역량을 결집해 이룬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최신 GPU(그래픽처리장치) 칩 1000여 장을 가산에 국내 최초, 최대의 고성능 GPU 클러스터를 구축했으며, 팔만대장경이 있는 해인사의 이름을 빌려 ‘해인’이라 명명했다”며 이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향후 전략으로 ▲국내 인프라 확충 ▲글로벌 진출 ▲솔루션 경쟁력 강화의 세 가지 축을 제시했다.
그는 “울산 AI DC를 확장하고 서남권 AI DC를 신설해 국내 기반을 단단히 다진 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겠다”며 “오픈AI와는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을 시작으로 기술·정책·산업을 함께 하는 협력체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SKT는 SK이노베이션과 함께 베트남에서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 중이며,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으로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LNG 발전소의 냉열을 활용하는 친환경 고효율 솔루션을 적용할 계획”이라며 “해외에서도 차별화된 인프라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통신사의 강점을 살린 ‘엣지 AI’ 전략도 강조했다.
정 대표는 “통신사만이 가능한 고유 영역으로, 하이퍼스케일러의 데이터센터나 온디바이스 AI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초저지연·저비용 수요를 타깃으로 한다”며 “아마존과의 중장기 협력을 통해 엣지 AI 기술 확보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또 “엔비디아 및 관계 연구기관과 연합해 6G 핵심 기술인 AI-RAN 공동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제조 AI 분야에서도 확장을 예고했다.
그는 “SK하이닉스 등 그룹 제조사와 협력해 제조 AI 전용 디지털 트윈 솔루션과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며 “엔비디아 RTX PRO GPU 2000대를 기반으로 제조 AI에 특화된 클라우드를 구축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는 아시아 최초의 제조 AI 전용 클라우드로, SKT가 범용 AI 인프라와 제조 인프라를 모두 공급하는 유일한 사업자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솔루션 전략도 제시했다. 정 대표는 “In-rack과 에너지 솔루션은 그룹 멤버사와 협력해 구현하고, Out-rack과 서브클러스팅 솔루션은 직접 개발하며 내재화를 추진 중”이라며 “설계에서 시공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AI DC(데이터센터) 솔루션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AI 대전환 시대의 한가운데서 국가를 대표하는 AI 기업의 CEO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SKT는 오늘 말씀드린 전략을 기반으로 AI 강국 도약에 기여하는 국가대표 AI 사업자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韓-엔비디아 ‘플랫폼 동맹'..소버린 AI 구축 속도
- SKT AI CIC장 정석근·유경상 선임…AI 사업 가속
- SKT, 13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획득
- SKT CEO 교체..정재헌 대외협력 사장 선임
- 해킹 사고 충격파 SKT, 3분기 영업익 484억 전년比 90%↓(종합)
- SKT, 금융 범죄 막는 AI 솔루션 'FAME' 출시..신한카드에 첫 공급
- SKT "오픈랜 기술 표준화로 네트워크 AI 진화 주도"
- [SK AI 서밋] 최태원 "AI 병목, 메모리·인프라·솔루션으로 고객과 함께 해결"
- SKT, '해커톤'·'코딩챌린지'로 숨은 AI 고수 발굴
- SK하이닉스, HBM 등 제품 15종 '글로벌 친환경 인증' 획득
- [3분기 실적] '해킹' 직격탄 통신업계…SKT '붕괴', KT·LG유플 '선방'
- SKT, AI 기반 무선 송수신 기술로 전파방송 기술대상 장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