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홈페이지, 팩트시트 공개
대한항공, 보잉항공기 103대 구매..362억달러
한국공군, L3해리스 AWACS 개발..23억달러
포스코인터내셔설, 리엘리먼트와 희토류 생산 거점 구축
한국가스공사, 미 LNG 연간 330만톤 장기 도입
한수원, 포스코인터, 우라늄 농축설비 확충 사업 참여
LS그룹, 전력망송전망 인프라 30억달러 투자
LS그린링크, 6.8억달러 생산설비 신설
HD현대, 미 조선소 현대화 추진..50억달러
삼성중공업,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 설비구축
한화오션, 필라델피아 조선소 시설확충..50억달러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빈 방한을 계기로 한·미 간 항공기, 에너지, 기술, 조선·해양 산업 분야에서 대규모 수출·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백악관이 29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순방의 마지막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해 미국 내 일자리 확대와 에너지·첨단기술·조선 분야 협력 강화에 방점을 뒀다.
백악관 팩트시트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보잉(Boeing) 항공기 103대를 총 362억 달러 규모로 구매하기로 했다. 이에 필요한 GE 에어로스페이스 항공엔진 구매 계약도 별도로 137억 달러 규모로 체결됐다. 백악관은 “미국 내 최대 13만5천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 공군은 L3해리스(L3Harris Technologies)를 새 공중조기경보통제(AWACS) 플랫폼 개발사로 선정했다. 계약 규모는 23억 달러로, 미국 내 약 6천개 일자리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희소금속 정련·분리 분야에서는 미국 리엘리먼트(ReElement Technologies)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내 희토류 정제 및 자석 생산 거점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다.
에너지 부문에서도 장기 공급 계약이 체결됐다.
한국가스공사는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연간 약 330만 톤 규모로 장기 도입하기로 했다. 판매사로는 트라피구라(Trafigura), 토탈에너지(TotalEnergies)가 참여하며, 공급은 셰니어(Cheniere) 등 미국 생산업체 물량을 활용한다.
센트러스 에너지(Centrus Energy), 한국수력원자력,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오하이오주 피케튼 지역 우라늄 농축설비 확충 사업에 공동 참여한다. 백악관은 “미국 내 3천개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LS그룹은 2030년까지 미국 전력망·송전망 인프라에 30억 달러를 투자한다. 미국 버지니아주에는 LS그룹 계열 LS그린링크가 6억8천만 달러 규모의 생산설비를 신설할 계획이다.
미국과 한국은 ‘기술 번영 협정(Technology Prosperity Deal)’을 체결하고 ▲인공지능(AI) 수출·표준 ▲6세대통신(6G) 연구 ▲바이오 공급망 ▲연구보안 ▲양자기술 협력 확대에 합의했다.
아마존은 2031년까지 한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 조성에 50억 달러를 투자해 AWS 기반 AI·데이터센터 생태계를 확장한다.
미 우주항공국(NASA)는 달 유인 비행 ‘아르테미스 II(Artemis II)’ 임무에 한국 우주 방사선 측정 위성을 탑재할 예정이다.
양국은 핵심 광물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한 민관 공동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해양·조선 분야에서는 한국 기업들의 미국 조선산업 참여 확대가 합의됐다.
HD현대는 미국 세르버러스캐피털과 함께 미국 조선소 현대화 및 자동화 투자 프로그램(50억 달러 규모) 을 추진한다.
삼성중공업은 미국 비거(Vigor Marine)와 함께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 및 자동화 설비 구축 에 협력한다.
한화오션은 필라델피아 조선소 인력 및 시설 확충에 50억 달러 를 투입해 생산 능력을 현재 대비 10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백악관은 이번 방한을 “미국 내 고용 확대와 공급망 복원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성과”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한국 방문을 포함해 일본·말레이시아 순방에서 대규모 교역·투자 약속을 확보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번 합의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미국이 ‘태평양의 핵심 국가’임을 재확인하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