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사항에 악마가 있지만, 그 부분 정리하는 중”

[포쓰저널] 미국과 한국이 새로운 무역협정을 사실상 타결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한국과의 협상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세부 조율만 남았다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CNBC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워싱턴DC에서 열리고 있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 “우리는 한국과의 협상을 곧 마무리하게 될 것”이라며 “세부사항에 악마가 있지만, 그 부분을 정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상은 IMF·WB 연차총회를 계기로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재무당국 간 회동에서 집중 논의되고 있다.
양국은 무역 및 투자 패키지 구성을 중심으로 세부 조율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기획재정부 및 외교부 당국자들도 워싱턴 현지 협의에 참석 중이며, 외환시장 안정 대책 및 미국의 투자금 운용 방식이 핵심 쟁점으로 거론된다.
한국측 수석 대표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한국은 협정 패키지에 양국 간 외화 유동성 지원을 위한 통화스와프(FX swap) 체계를 포함하는 방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화 가치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달러 유동성 확보 장치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일본은 미국의 고율관세 완화와 맞바꾸는 형태로 5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약속을 한 바 있으나, 한국 정부는 자국 경제 규모와 외환시장 구조가 일본과 다르다는 점을 들어 “단순 비교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견지 중이다.
미국 측은 한국에 대한 3500억달러 규모 투자 프로그램을 추진하되, 직접투자(direct capital)와 대출·보증(loans and guarantees)의 비중을 어떻게 나눌지를 놓고 내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말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협상 진전을 성과로 내세울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양국 모두 ‘선타결 후조율’ 방식으로 일정을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양국은 세부 조율을 마치면 이번 주 후반이나 다음 주 초 공동 성명 또는 양해각서(MOU) 형태로 협상 내용을 공식 발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