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최초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배터리 소재 경쟁력 강화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LG화학은 국내 화학업계 최초로 LG화학 대전 기술연구원 분석연구소에 로봇 자동화 실험실을 구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로봇 자동화 실험실의 도입으로 사람이 직접 수행하던 고온, 고농도 산 처리 등 위험하고 반복적인 분석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안전과 분석 효율이 동시에 향상됐다.
담당자가 분석 시료를 보관함에 넣으면 로봇이 출고부터 시료 전 처리, 분석, 시료 폐기까지 한 번에 수행하고 분석 데이터가 시스템으로 자동 입력돼 고객 요청에 매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기존에는 연구원들이 근무 시간에 맞춰 실험 준비와 진행에 직접 투입됐으나 로봇 자동화 실험실 도입으로 24시간 365일 실험이 가능한 무제한 연구 환경이 조성됐다. 이에 따라 연구원들은 신규 분석법 개발 등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LG화학은 이번 도입을 시작으로 마곡R&D캠퍼스에도 분석 자동화 실험실을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는 AI(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데이터 해석까지 연계한 AX(인공지능 전환) 융합 자동화 실험실을 마련해 연구 효율성과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여갈 예정이다.
이종구 LG화학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은 “분석 자동화는 단순 업무 효율화를 넘어 연구원들이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연구개발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과정”이라며 “이를 통해 차세대 소재 경쟁력을 선도하고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폴리머스 인도 재단 개소…CSR 활동 본격
- LG화학, 고인산혈증 치료제 '네폭실' 심포지엄 개최
- 日 토요타,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2대 주주 합류
- LG화학, 협력사 자동화 설비 교체·국제방폭 인증 지원.."안전보건 역량 강화"
- "버려진 자원 재활용 아이디어 발굴"..LG화학 공모전 개최
- LG화학 인도 공장 '가스 누출' 피해자들 방한…"보상 충분하지 않아"
- "청소년 환경 영웅 키운다"…LG화학 '우리가 그린히어로' 지역 확대 운영
- "협력사 보안까지 챙긴다"…LG화학, 기술보호 바우처 지원사업 본격
- LG화학, '액상 PID' 개발 완료…AI·고성능 반도체 시장 공략 본격
- LG화학, 獨 'K2025'서 배터리 열폭주 지연 등 혁신 소재 소개
김지훈 기자
4th.hun@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