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

SKT 컨소시엄 풀스택 AI 개념도./사진=SKT
SKT 컨소시엄 풀스택 AI 개념도./사진=SKT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SK텔레콤은 ‘SKT 컨소시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인공지능)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SKT 컨소시엄은 반도체, 모델, 데이터, 서비스로 이어지는 독자 기술 기반의 풀스택 AI를 구현하고, 개발하는 모델을 국내 AI 생태계의 다양한 기업들에 오픈소스로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출범했다.

컨소시엄에는 크래프톤, 포티투닷(42dot),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 다양한 분야의 선도기업들이 참여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하는 현장 데이터와 기술 노하우는 셀렉트스타의 24만명 규모 데이터 가공 플랫폼 ‘캐시미션’을 통해 고품질 학습 데이터셋으로 전환된다.

셀렉트스타는 국내 최초 LLM(거대언어모델) 신뢰성 검증 솔루션 ‘다투모 이밸’과 국내외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AI 모델 안정성을 평가한다.

SKT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 국내 LLM의 규모를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에 도전한다는 목표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옴니모달(Omni-Modal)’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그동안 SKT는 자체 보유 슈퍼컴퓨터인 타이탄(TITAN)에서 A.X 모델의 학습을 진행해 왔다. 앞으로는 컨소시엄 차원에서 이번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과제를 위해 대규모 자원을 자체 조달해 보다 고차원의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리벨리온이 보유한 국산 NPU(신경망처리장치) 활용 기술 최적화를 통해 고성능·고효율 AI 서비스를 구현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모든 국민이 손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국내 산업 영역의 중요도가 높은 사무·제조·자동차·게임·로봇 분야의 AI 혁신과 대전환을 선도할 계획이다.

김지원 SK텔레콤 AI Model Lab장은 "업계 선도 기업들의 준비된 기술력과 실행력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한국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