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대한상의 '신기업가정신' 토론회
최태원 "사회적 문제 해결, 기업 선한 마음만으론 충분치 않아"
김재구 "현재는 정답없는 세계..기업과 시민사회 함께 해야"
이정현 "사회적 가치-경제적 가치 선순환하는 구조 만들어야"

2025년7월8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신기업가정신 토론회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문기수 기자
2025년7월8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신기업가정신 토론회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문기수 기자

[포쓰저널=문기수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당면한 사회적 문제와 경제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경제주체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했다.

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신기업가 정신 토론회에서 최 회장은 "사회적 문제와 경제적 문제를 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좋은 마음만으로는 안된다. 문제를 같이 풀 수 있는 사람에게는 인센티브를 줘야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토론회 환영사를 통해 사회 문제가 예전보다 더 훨씬 복잡해졌으며 정부, 기업, 시민사회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들어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의 자본주의 시스템이 사회를 잘 작동시킬수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이 있다"며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정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예를 들어 저출산 문제와 관련해 우리(정부)는 돈과 정책을 엄청나게 들여 대응했지만, 실제로 (정책들이) 워킹(작동)하지 않았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응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선한 마음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최 회장은 지적했다. 

최 회장은 "정부에서 자꾸 좋은마음을 갖고 CSR(기업의사회적책임) 활동이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해봐라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이게 제대로 워킹되지는 않는다"며 "(사회적문제)를 경제시스템안에 포함시키지 않으면 기업이나 많은 경제 주체들이 문제를 해결할 해법을 생각해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문제와 경제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문제를 같이 풀기 위해서는 인센티브를 줘야한다"고 했다. 

최 회장은 사회적 가치 해결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좋은 일에 대한 메저먼트(측정)가 필요하다. 경제에서 돈을 세는 것처럼 (해당 가치가) 얼마인지 알아내야 한다. 리소스를 지불하고 얼마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지 알아내야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에는 측정하는데 돈이 들어갔지만, 이제는 가능한 세계가 왔다. 새로운 경제시스템을 통해 자본주의를 새롭게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5년7월8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신기업가정신 토론회에서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명지대교수)가 발언하고 있다./사진=문기수 기자
2025년7월8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신기업가정신 토론회에서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명지대교수)가 발언하고 있다./사진=문기수 기자

기업가정신의 진화와 우리나라 현실 진단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명지대교수)는 과거 공부했던 기업가 정신들이 현재와는 맞지 않게 됐다며, 현재를 '정답이 없는 세계'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우리가 처해있는 현실은 정답이 없는 세대이고, 예측이 불가능할정도로 불확실하면서 역동적인 환경이라고 한다"며 "이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수단을 통해 기회를 잘 활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목적을 만들어 나갈수 있을까? 그걸 달성할수 있을까? 하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시민사회가 함께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기업이 결국은 성장의 엔진 역할을 하고, 혁신의 주체가 된다는 걸 인정하고, 시민사회와 함께 혁신을 만들어나가야한다는 관점이 새 정부에서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25년7월8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신기업가정신 토론회에서 이정현 한국경영학회 전 수석부회장(명지대 교수)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문기수 기자
2025년7월8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신기업가정신 토론회에서 이정현 한국경영학회 전 수석부회장(명지대 교수)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문기수 기자

'우리에게 필요한 기업가정신과 기업, 정부, 사회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정현 한국경영학회 전 수석부회장(명지대 교수)는 사회적 가치를 핵심경영가치로 내재화해 경제적 가치로 선순환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기업에게 필요한 기업가정신의 실천과제로 사회적 가치의 혁신 내재화를 꼽았다. 

그는 기업이 SV(사회적가치)와 EV(경제적가치)를 모두 다룰수 있는 양손잡이 조직으로 거듭나야한다고 주장했다. 

두가지 가치를 모두 다룰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의사결정 루틴도 변화해야한다고 했다. 

구체적 실천 과제로 대한상의 주도로 사회적 가치 창출 크레딧을 중소벤처기업까지 확대해야한다고 했다. 

정부는 이러한 생태계의 설계자와 조정자로써 역할을 하는게 중요하다고 이 교수는 조언했다. 

그는 "더이상 정부는 지원자가 아니라 설계자로써 민간이 주도하는 혁신 생태계의 플랫폼을 정교하게 조율하고, 공공자원을 통한 선순환적 연결구조를 설계해야한다"고 말했다.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촉진을 위해서는 보상 제도 기반을 정부가 마련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세제 혜택, 공공조달, R&D(연구개발) 등을 재설계해야한다고 밝혔다. 

시민사회는 기업가를 사적 이윤 추구자가 아닌 공공가치 실현의 협력 주체로 인식해야하고, 기업활동에 대한 공정한 감시와 정단한 종중을 동시에 부여하는 문화적 기반을 마련해야한다고 이 교수는 주장했다. 

이 교수는 "지금은 위기 대응이 아닌, 생태계를 다시 재구축할 때"라며 "지금이야 말로 신기업가정신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