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 TV에 LLM 연동
"어려운 시사 정보부터 미디어 콘텐츠까지 질문 영역 확장"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 (고객) "지니야, 곽튜브가 네팔에 가서 버팔로 먹던 여행 프로그램이 뭐였지?"
(지니) "네팔에서 버팔로 요리를 먹었던 여행 프로그램은 ENA에서 방영된 '지구마불 세계여행3' 입니다"
(고객) "지구마불에서 방문한 다른 나라들은?"
(지니) "지구마불 세계여행에서 방문한 나라들로는 네팔 외이도 라오스, 핀란드, 탄자니아 등이 있습니다"
KT는 다양한 질문에 자연스러운 대화로 응답이 가능한 AI(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자사 IPTV(인터넷 TV) 서비스 '지니 TV'에 탑재했다고 8일 밝혔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대형언어모델(LLM)과 연동돼 단순 음성 명령 인식에서 벗어나 진정한 의미의 '대화가 잘 통하는 AI'를 구현함으로써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로의 본격적인 확장 기반을 마련했다.
KT는 지니 TV AI 에이전트 도입으로 ‘기가지니’의 기능을 고도화해 고객의 미디어 라이프를 크게 향상시켰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날씨·뉴스 등 최신 생활 정보는 물론 시사상식·교양·과학·인물 등 복잡한 주제에 관한 질문도 가능하다.
뉴스를 보다가 "관세 협상은 왜 발생한 거야?", "최근 우리나라 코스피 추이는 어때?"같은 어려운 질문에도 답해준다.
"코스피 상승 요인은 뭐야?", "외국인 투자 유입의 영향은?" 등 꼬리를 무는 연속 질문에도 답변해 준다.
콘텐츠 탐색 환경이 크게 개선돼 줄거리나 간단한 설명만으로도 맥락을 이해해 정보를 제공한다.
"곽튜브가 네팔 가서 버팔로 먹던 여행 프로그램이 뭐였지?"라고 물으면 ENA 예능 "지구마불 세계여행3"를 찾아주고 해당 프로그램의 다른 에피소드 추천이나 출연진 정보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지니 TV의 자체 콘텐츠뿐만 아니라 유튜브·디즈니플러스·티빙·쿠팡플레이 등 주요 OTT(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콘텐츠 정보 탐색도 가능하다.
스마트폰에 한정됐던 LLM 서비스가 가정 내 TV로 들어오면서 AI 활용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나 어르신들도 더 쉽게 AI와 소통할 수 있게 됐다.
아이와 TV를 보다가 "하늘은 왜 파란 거야?", "별은 왜 반짝이고 움직여?", "동물은 왜 말을 못 하는 거야?"라고 물으면 부모가 스마트폰으로 검색할 필요 없이 지니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친절하게 설명해 줄 수 있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KT가 기가지니를 통해 축적해 온 AI∙빅데이터 기술력에 LLM 최적화 역량을 더해 자연스러운 언어 이해와 응답을 제공한다.
KT는 2017년 IPTV와 인공지능을 결합한 기가지니를 선보인 후 가입자 500만명 이상을 확보해 대한민국 AI 스피커 시장을 선도해 왔다.
이후 고객 질문에 대한 단순 답변 구조에 대해 꾸준히 개선을 시도해 왔다.
이번 지니 TV AI 에이전트 탑재로 단순 답변 구조를 넘어 자연스러운 대화까지도 가능하게 됐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단방향이나 일회성 음성 명령을 넘어 '멀티 턴 대화 구조'를 갖췄다.
음성 인식률도 95%이상으로 크게 개선됐다.
실시간 검색 기능을 연동해 최신 정보 탐색 기능도 강화했다.
다양한 LLM 연동이 가능한 구조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의도 분류 엔진'을 적용했다.
의도 분류 엔진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여러 LLM 중 가장 적합한 모델을 자동 호출한다.
현재 적용된 LLM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도입한 애저(Azure) 오픈AI 서비스 기반으로 제공된다.
향후 다양한 LLM과도 확장 연동이 가능하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현재 '지니 TV 셋톱박스 4'에서 이용할 수 있다.
11월에는 '지니 TV 올인원 사운드바'로 확대 적용된다.
내년에는 약 500만대의 AI 스피커 기반 셋톱박스 전 단말에 순차 적용할 예정이다.
연내 이미지·오디오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통합 인식하는 '멀티모달 모델'도 도입할 계획이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전무)은 "지니 TV AI 에이전트 탑재로 더 똑똑해진 지니 TV를 통해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누구나 집에서 손쉽게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넓혔다"며 "앞으로도 KT는 고객이 일상에서 AI를 더욱 쉽고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 AI 실시간 스팸 키워드 등록 시스템 도입..차단 150%↑
- "AX 인재 발굴"..KT '에이블스쿨 8기' 모집
- "한국적 AI 대중화"..KT '믿:음 2.0' 오픈소스 공개
- "코딩없이 AI 도입"..kt ds, AX 최적화 'AI 게이트웨이' 출시
- KT, 토스페이 자동납부 도입..4대 간편결제 서비스 완성
- KT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 22%↓.."스코프3 배출계수 최신화"
- "尹정부 'KT 불법 경영개입' 특검 수사해야"
- 내년 이용기간 종료 이동통신 주파수 전부 재할당 추진
- '휴대전화 개통' 모바일 신분증 범위 확대..면허증·주민증·보훈증
- 'SKT 탈출' 진정세..6월 이동 20만명 전월비 52%↓
- '번호이동 담합' 이통3사 과징금 1140억→963억원 감경
- KT ds, AI 코드 어시스턴트 '코드박스' 개발.."폐쇄망 환경 지원"
- KT, 신규·기존 고객 혜택 강화 '웰컴 이벤트'
- KT '2025 KT AI P.A.N' AI 영상 공모전
- KT "AI 체험 'K 인텔리전스 럭키드랍' 프로젝트 개시"
- KT '함께 쓰는 로밍' 누적 이용 420만 돌파..여름 프로모션 인기
- "자율주행·IoT 시장 확대"..KT, 트림블과 정밀측위 솔루션 고도화 협력
- KT '갤럭시 Z 폴더블7 AI 체험존' 운영
- KT '국방 나라사랑카드' 사업자 선정..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