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AI 수익성·지속가능성 관점 통신사업자 역할 변화 방안 논의 예정

[포쓰저널] SK텔레콤이 3일(현지 시간)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25에서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과 AI가 접목된 기지국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을 공개한다고 2일 밝혔다.
SKT의 단독 전시관이 자리한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 3홀에는 삼성전자, MS, 인텔, 퀄컴, 노키아, 도이치텔레콤 등 주요 글로벌 ICT 기업들이 포진해 있다. 해마다 MWC에서 공개되는 첨단 기술·서비스로 가득 채워지는 핵심적인 공간이다.
SKT는 전시관 전면에 움직이는 LED 디스플레이 18개를 배치, 최대 505인치 화면에 SKT의 AI 비전을 담은 미디어 아트를 선보여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내부는 SKT와 파트너사들의 다양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AI기지국 및 차세대 통신 기술, ‘K-AI Alliance’ 파트너인 몰로코, 래블업, 트웰브랩스 등 역량 있는 스타트업 소개 공간 등으로 구성됐다.
AI 데이터센터는 AI 학습과 추론 등에 필수적인 GPU(그래픽저장장치) 서버,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전력 공급, 열 효율 관리를 위한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차세대 데이터센터다.
SKT는 이번 MWC에서 통신 분야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굳건히 하는 동시에, 미래 혁신 기술 관련 글로벌 AI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GSMA, 인공지능 시대 통신 사업자의 역할 변화 모색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는 이번 MWC의 테마로 이동통신 산업의 향후 수익성 확보 방안, 가능성과 위기가 상존하는 AI의 활용방안 등을 제시했다. 개막 기조연설에서는 통신 산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동통신사업자의 역할 변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예고했다.
글로벌 ICT 업계가 통신·AI 사업의 현실적인 수익모델과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만큼, SKT도 통신사(Telco) 본연의 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기술은 물론 신성장 영역에 이르는 폭넓은 AI 혁신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SKT는 AI 기지국(AI-RAN)과 AI 라우팅, AI 기반 측위 기술 등 통신 분야 첨단 기술을 시연하는 한편, 통신사의 AI 고객센터나 유통망에 텔코 LLM을 적용한 사례도 소개한다. 해킹 시도 등 사이버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AI 솔루션, 미디어·헬스케어 영역의 인공지능 기술도 소개한다.
◆ 자강·협력 통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 경쟁력 선봬
SKT는 지난해 발표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AI Infra Super Highway)’ 전략 아래 다양한 AI 데이터센터 기술을 발굴하고, SK그룹 멤버사 및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자강(自强)·협력(協力)의 사업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SKT는 이번 MWC에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사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에너지·운영·AI 메모리·보안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총망라한다.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을 제어하는 기술, 액체 냉각 기술, GPU 자원 관리 솔루션 등이 포함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SK하이닉스 HBM(고대역폭 메모리), SKC의 유리기판, 리벨리온 NPU(신경망 처리장치) 등 그룹 멤버사와 파트너사들이 보유한 K-AI 반도체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형 소버린 AI’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도 부각할 계획이다.
◆ 기간 글로벌 텔코 멤버사 간 시너지 창출 기대
SKT는 이번 MWC에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lobal Telco AI Alliance·)’ 멤버사들과 공동 전시를 진행하고, MWC를 찾은 세계 각국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라운드테이블 행사를 개최한다.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창립 멤버인 SKT, 도이치텔레콤(DT), 이앤(e&)그룹, 싱텔(Singtel), 소프트뱅크(Softbank) 5개사는 텔코 LLM 개발을 시작으로 규모의 경제에 기반한 AI 분야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MWC25 기간 중에는 도이치텔레콤, 이앤그룹과의 공동 전시를 통해 글로벌 텔코 얼라이언스가 추진하는 AI 기술 협력 아이템들을 공개한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이번 MWC25를 통해 인공지능 혁신에 필요한 AI 데이터센터, AI 에이전트를 비롯한 차별적인 서비스와 인공지능을 품은 네트워크 인프라 등 핵심적인 성장 영역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고 글로벌 우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MWC25] LG유플러스, AI 신뢰성·보안 강조 '안신 지능' 전략 공개
- [MWC25] KT, AI가 변화시킬 대한민국의 일상 선봬
- [MWC25] 삼성전자, '어썸 인텔리전스' 적용 2025년형 '갤럭시 A' 시리즈 최초 공개
- [MWC25] KT, AI·AR 활용 'K-팝 댄스 챌린지' 선봬
- [MWC25] SKT 유영상 " AI B2B·B2C 사업 고도화해 수익 낼 것"
- 삼성전자서비스, 여름 대비 '에어컨 사전점검' 서비스
- [MWC25] SKT,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맞손'…AI 데이터센터 구축 협력
- [MWC25] SKT, AIDC 액체냉각기술 개발 …기가컴퓨팅·SK엔무브와 파트너십
- [MWC25] SKT-엘리스그룹, AI DC 모듈러 분야 협력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