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호선 잠실역' 승차하 인원 1위

2024년 승하차 인원 1위를 기록한 2호선 잠실역 승강장의 모습이다. /2025.2.19 서울교통공사
2024년 승하차 인원 1위를 기록한 2호선 잠실역 승강장의 모습이다. /2025.2.19 서울교통공사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지난해 서울 지하철 1~8호선의 수송 인원이 전년 대비 2.5% 늘어난 총 24억1752만명, 하루 평균 660만5250명으로 집계됐다.

19일 서울교통공사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서울 지하철 1~8호선 수송 통계'를 밝혔다.

지난해 일 평균 수송 인원은 코로나19 팬데믹 전인 2019년 731만명의 91% 수준이다. 팬데믹이 본격화된 2020년 528만명까지 떨어졌던 수송 인원은 2022년 590만명, 2023년 644만명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월별 수송 인원을 살펴보면 행락객이 늘어나는 5월이 2억1159만 4259명으로 가장 붐볐고 연말 모임 등 영향으로 12월(2억1114만6518명), 11월(2억1073만3023명)이 뒤를 이었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에 승객이 가장 많고 일요일이 가장 적었다.

하루 중 오후 6시부터 7시 사이 승하차 인원이 가장 많았고,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오전 5시 30분부터 6시 사이는 자정 이후보다도 이용객이 70% 이상 많았다. 

연중 승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3월 28일 목요일'이었다. 일 평균 수송 인원인 660만 명보다 186만 명 더 많은 846만 명이 지하철을 타고 이동했다. 여의도·석촌호수 등 서울 곳곳에서 열렸던 봄꽃 축제에 상춘객들이 대거 몰리면서 통행량이 급증한 것으로 해석된다.

수송 인원이 가장 적었던 날은 설날이었던 2월 10일 토요일로 평소의 35% 수준인 231만 명이 지하철을 이용했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은 지난해 총 160만499회 운행하며 4204만917㎞를 달렸다. 전년과 비교해 열차 운행이 9096회 늘면서 수송 거리도 87만3826.4km 증가했다. 4·5·7호선 혼잡도 완화를 위한 열차 증회와 8호선 별내선 연장 개통이 맞물린 결과라는 서울교통공사의 설명이다.

지난해 서울 지하철 1~8호선 273개 역 중 가장 많은 승객의 발길이 오간 역은 '2호선 잠실역'으로, 하루 평균 15만6177명이 승하차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실역은 지하에 광역환승센터가 있어 평소에도 승객 통행이 활발한 데다 8호선 별내선이 연장 개통하면서 구리·남양주 주민 유입이 늘어난 것으로 서울교통공사는 보고 있다. 프로야구가 한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우며 역대급 흥행에 성공해 승객이 몰렸던 영향도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위는 홍대입구역(15만369명), 3위는 강남역(14만9757명) 순이었다. 강남역은 1997~2022년까지 26년간 부동의 1위를 지켜왔지만, 2023년 처음으로 '잠실역'에 자리를 내주며 2위로 밀려났다가 지난해는 3위로 하락했다.

승하차 승객이 가장 적었던 역은 2호선 신정지선 도림천역으로 하루 평균 2615명에 그쳤다.

승하차 인원 상위 10개 역 중 1호선 서울역, 3호선 고속터미널역을 제외한 8개 역은 모두 '2호선 역'이 차지했다. 잠실역, 홍대입구역, 강남역 외에도 구로디지털단지역, 신림역, 삼성역은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이 10만명을 넘으며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2호선은 하루 평균 196만4128명을 실어 나르며 서울 지하철 1~8호선 중 가장 많은 수송 인원을 기록했다.

2호선 다음으로는 5호선, 7호선, 3호선, 4호선, 6호선, 1호선, 8호선 순으로 수송 인원이 많았다. 상위 2·3위인 5호선(94만4969명)과 7호선(85만2631명)을 합해도 2호선에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승객이 크게 늘어난 역도 있었다.

4·7호선이 환승하는 노원역은 승차 인원이 각각 37%, 15% 늘면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서울교통공사는 2023년 시작된 노후 에스컬레이터 교체 공사가 지난해 8월 마무리되면서 전반적인 이용 환경이 안정화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5호선 김포공항역은 2024년 방한 관광객이 전년 대비 50% 가까이 늘어난 영향으로 승차 인원이 28% 늘었고, 8호선 산성역도 인근 대단지 아파트가 입주하면서 지하철역 활성화 분위기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성수동이 젊은 세대와 외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핫플'로 자리 잡으며 2호선 성수역도 약진을 거듭하고 있다.

성수역은 2018년만 해도 일 평균 승하차 인원이 5만6000여명으로 42위에 머물러 있었다. 2021년 첫 20위권 진입 후 2022년 17위, 2023년 15위로 오르다 지난해 하루 평균 8만8059명이 승하차하며 13위까지 뛰어올랐다. 7년 만에 승객이 57%나 늘어난 것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지난해도 여전히 지하철 이용객 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이 안 되고 있고 무임승차 비율과 각종 지하철 요금 할인 정책은 늘어나는 등 운영 여건이 나아지고 있지 않다"며 "다양화되는 시민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발맞춰 태그리스 시스템 도입, 열차 운행 시간 탄력적 조정, 다기능 지하철 키오스크(발권기) 설치 등 지하철 운용 패턴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