햔대제철 "경쟁력 확보에 다양한 방안 검토…결정된 사항은 없다"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현대제철이 미국에 약 10조원을 투자해 대형 제철소를 신규로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일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에 맞춘 전략으로 보인다.
8일 현대제철은 이와 관련 "지속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그룹의 공장이 있는 조지아주 등 몇몇 주 정부 측과 접촉해 인프라 등 투자 여건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현대제철이 새 제철소를 미국에 건설한다면 연산 수백만 톤(t) 규모로 투자금도 10조원대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제철이 미국 현지 제철소 계획을 확정한다면 해외에서 쇳물을 뽑아내는 첫 제철소를 짓게 된다.
현대차그룹이 대형 투자 검토에 나선 것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 자사의 미국 내 자동차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에서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91만1805대, 기아 79만6488대 등 총 170만8293대를 판매해 역대 최고 판매 실적을 경신했다.
현대제철의 연간 조강 생산량 약 2천만 t 중 자동차용 강판 생산량 약 500만t 이며 이중 약 400만t이 현대차와 기아에 공급된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 공장과 조지아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가동 중인데 메타플랜트 생산량이 확대되면 향후 연간 미국 내 생산량이 120만대 체제를 갖추게 된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현대제철 한국 공장에서 생산한 강판을 가져다 미국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데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은 쿼터가 적용돼 공급 물량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한국 철강 수입량을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t)의 70%로 축소한 쿼터를 적용했다.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