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코닝과 협력..어퍼 미드밴드 광대역 6G 지능형 표면 검증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6G 시대 필수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는 RIS(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 기술 검증을 통해 LG유플러스가 RIS 활용 가능성의 새 길을 열었다.
LG유플러스는 포스텍(POSTECH) 홍원빈 교수 연구팀, 정밀소재 전문기업 코닝(Corning)과 손잡고 차세대 6G 이동통신을 위한 RIS 검증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RIS 기술은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이 전파를 정교하게 반사 또는 투과하며 제어해 도심 빌딩이나 지하 공간 등 음영지역에서도 원활한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으로, 마치 거울처럼 전파의 반사와 투과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이다.
건물 외벽에 RIS를 도입하면 무선 통신 장비를 건물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고 고주파 대역 주파수를 투과해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해져 6G 후보 주파수 대역의 전송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6G RIS는 포스텍의 설계 기술과 코닝의 특수 유리 기술을 활용해 7~14㎓ 어퍼 미드밴드 주파수의 광대역에서 무선 신호의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LG유플러스는 앞서 5G 주파수를 이용한 RIS 실험에서도 성공하며, 해당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미리 점검한 바 있다. 5G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테스트를 통해 기존보다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파 송수신을 구현해 RIS 기술의 잠재력을 입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6G에서도 RIS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6G 시대에는 현재 이동통신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훨씬 높은 ‘초고주파 대역’이 활용될 전망이다.
6G에서는 어퍼 미드밴드(Upper midband) 대역과 같은 새로운 고주파가 통신에 적용되면서 초당 수십 기가비트(Gbps)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는 건물 벽, 창문 등 장애물에 약해 음영지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전파의 방향을 조절해 신호를 증폭하고 전달할 수 있는 RIS 기술이 필수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이번 6G 어퍼 미드밴드 RIS 검증으로 6G 후보 주파수에 대한 한계 및 극복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연구 개발을 지속해 더 많은 음영 지역에서 최적화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POSTECH 홍원빈 교수 연구팀, 정밀소재 전문기업 코닝(Corning)과 손잡고 차세대 6G 이동통신을 위한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검증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 "네트워크 협력사와 동반성장"…LG유플, 31곳 감사패 전달
- "지속가능한 6G"…LG유플, '전광형 네트워크' 기술 개발 실증
- "U+멤버십으로 수능 스트레스 날리세요"…LG유플, 인기 영화 재상영 이벤트
- LG유플러스, LG전자·KAIST와 6G 후보 주파수 대역 전파 특성 연구
- LG 7개 계열사, 작년 탄소 425만 톤 감축...축구장 10.6만개 산림 조성 효과
- LG유플 유쓰 "2025년 대학생 대표 키워드 '올라운더 과대표'"
- LG유플 황현식 대표, KAIST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
- "쉽게 켜고 끄는 가상번호로 일과 사생활 분리"…LG U+, '듀얼넘버 온앤오프' 출시
- LG U+, 협력사와 11년 연속 독거노인 나눔 활동
- LG유플러스 '6G 백서' 발간..통신-센싱 융합 6G 미래 인프라 비전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