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광 신호 변환 최소화해 전력 사용량↓…"차세대 NW로 고객 가치 혁신"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6G 전송망의 핵심기술인 '전광형(All-Photonic)' 장비에 대한 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등 LG유플러스는 차세대 NW(네트워크) 기술 연구에 대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인 인피네라, 주니퍼네트웍스와 함께 ‘전광형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실증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전광형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는 전기신호와 광신호 간 변환을 최소화해 전력 소비를 줄이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전력을 저감해 에너지를 아낄 수 있고, 폭발적인 트래픽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자체 제작한 ‘6G 백서’를 통해 6G의 비전 중 하나로 ‘지속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글로벌한 환경 변화 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칩셋에서부터 단말, 네트워크 장비, 인프라 시설, 주파수까지 전반적으로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설계와 구축·운영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은 지속가능한 네트워크 기술을 보유하기 위해 전송망에서 능동적으로 전력 사용을 제어하는 기술이나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 등을 고민하고 있다. 특히 전송망 분야에서 에너지 소비가 적은 전송 기술이나 전력 사용을 줄인 소자 구성을 채택하는 등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전송 기술 측면에서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전광형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연구했다. 전송망 장비 구조에서 에너지 소비가 높은 부문인 전기 신호와 광신호간 변환을 최소화해 전광형 장비 소자로 망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이번 실증을 통해 LG유플러스는 6G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선제적인 기술을 확보했다.
이밖에도 LG유플러스는 6G를 준비하기 위해 AI(인공지능), 오픈 네트워크·오픈랜, 네트워크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이상헌 NW선행개발담당은 “LG유플러스는 차세대 NW(네트워크) 기술 연구에 대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6G 전송망의 핵심기술로 예상되는 전광형 장비에 대한 상용 가능성을 확인했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관련 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고객 가치를 만들기 위한 NW 기술 연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U+멤버십으로 수능 스트레스 날리세요"…LG유플, 인기 영화 재상영 이벤트
- LG유플러스, LG전자·KAIST와 6G 후보 주파수 대역 전파 특성 연구
- "디지털 소통" LG유플러스, '제17회 대한민국소통어워즈'서 4관왕
- LG유플 MNO 가입 회선 2천만 달성...5G 보급률 70% 돌파(종합)
- "네트워크 협력사와 동반성장"…LG유플, 31곳 감사패 전달
- 6G 이동통신 RIS 검증 성공...LG유플러스 "지하공간도 신호 전달 원활"
- LG유플 유쓰 "2025년 대학생 대표 키워드 '올라운더 과대표'"
- LG유플 황현식 대표, KAIST 공과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
- LG유플러스 '6G 백서' 발간..통신-센싱 융합 6G 미래 인프라 비전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