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5개 기업이 전체 임대 휴게소 36% 운영
최근 3년간 휴게시설 운영시장 신규진입 1곳
윤재옥 의원 " 운영자 선정 공정 경쟁 전제돼야"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의 3분의 1 이상을 대보그룹, 풀무원 등 상위 5개 업체가 과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재옥 의원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고속도로 임대 휴게소 189개 중 69개는 상위 5개 기업집단이 운영하고 있다.
가장 많은 임대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집단인 ‘대보그룹’은 계열업체인 대보유통, 대보건설, 대보디앤에스, 보령물산을 통해 총 26개의 임대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다.
풀무원(14개), KR(12개), SPC(9개), 바이오시스(8개)가 뒤를 이었다.
주유소는 대보(30개), 풀무원(13개), 바이오시스(12개), SPC(8개), 와이엠(7개) 순이다.
윤재옥 의원은 “고속도로 휴게시설 운영 시장은 흔히 그들만의 리그로 불린다”며 “특수상권에 해당 될 뿐 아니라 휴게소와 주유소의 수가 한정돼 있고 입찰을 통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운영권을 따내야 하므로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이라고 했다.
임대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는 업체 58개 중 77%인 45개는 2개 이상의 휴게소를 운영 중이고, 5개 이상의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는 업체도 1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휴게시설 운영 시장에 새로 진출한 업체는 ‘에스제이오일’과 ‘더웨이유통’ 두곳에 불과했다.
더웨이유통의 경우 이미 4개의 휴게소를 운영 중인 ‘에이치앤디이’의 자회사여서 새 업체는 사실상 에스제이오일 한 곳 뿐이다.
윤 의원은 일부 휴게소 운영업체가 운영계약 연장이나 새로운 휴게시설 운영권을 따내는 것을 수월하게 하고자 한국도로공사 출신의 전관을 영입하는 문제도 지적했다.
운영업체는 최초 계약 후 최대 10년까지 휴게소를 운영할 수 있는데, 계약이 5년, 3년, 2년 단위로 이뤄져 5년차와 8년차에 계약연장을 거쳐야 한다.
이때 계약연장의 기준으로 활용되는 것이 도공이 매년 실시하는 ‘휴게소 운영 서비스 평가’다.
해당 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받은 운영업체는 기존 계약을 연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후 다른 휴게소 운영권 입찰에 참가할 때도 가점을 받는다.
윤 의원은 “휴게소 운영업체들이 감독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월히 하고자 공사 퇴직 임직원을 고용하곤 한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히 나돈다”며 “관련 비위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수단은 허술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도로공사는 직원을 제외한 임원만 휴게소 운영업체를 비롯한 직무와 연관 기업 및 기관에 대한 재취업심사 대상으로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국민 편익을 위해서는 휴게소 운영자 간의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이 전제돼야 한다”며 “이를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