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사후 자기인증제, 배터리 한해 사전 형식승인제로 전환
현대차그룹,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먼저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은 2024년 10월 15일 광주광역시 빛그린 산업단지에 위치한 자동차안전연구원 친환경 자동차·부품 인증센터에서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 현대차그룹 김동욱 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 실시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왼쪽 넷째), 현대차그룹 김동욱 부사장(왼쪽 셋째)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국토교통부는 광주광역시 빛그린 산업단지에 위치한 자동차안전연구원 친환경 자동차·부품 인증센터에서 현대차, 기아, LG에너지솔루션,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 등 5개 업체와 함께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왼쪽 넷째), 현대차그룹 김동욱 부사장(왼쪽 셋째) 등 관계자들이 협약식 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현대자동차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정부가 이달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향후 출시되는 완성차 제조사의 전기차 및 전기이륜차는 시중에 판매되기 전 배터리 안전성 시험을 거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광주광역시 빛그린 산업단지에 위치한 자동차안전연구원 친환경 자동차·부품 인증센터에서 현대차, 기아, LG에너지솔루션,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 등 5개 업체와 함께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전기차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안전성을 정부가 사전에 직접 시험해 인증하는 제도로 내년 2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행에 앞서 시범사업을 통해 해당 제도를 조기에 안착시킨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0여년간 시행해온 안전성 사후 검증 방식(자기인증제)을 배터리 분야에 한해 폐지하고 사전 승인 방식(형식승인제)을 채택한다.

한국은 제작사가 스스로 차량 인증을 완료하면 정부가 판매된 신차를 확보해 사후에 안전기준 적합 여부를 검증하는 '제작사 자기인증제'를 2003년부터 시행해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사가 생산·활용하는 배터리는 시중에 판매되기 전 국토부의 인증 시험을 거치게 된다. 판매 이후 적합성 시험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을 경우 시정명령을 이행해야 한다.

이번 시범 사업에 참여한 5개 업체의 일부 차량 배터리에 대해 인증제가 선제적으로 시행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시범사업 참여를 계기로 2026년까지 배터리 안전성 인증을 유예하지 않고 인증제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내년부터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현대차그룹 김동욱 부사장은 “전기차 안전성 확보를 위한 이번 시범사업에 현대차그룹은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먼저 참여한다”며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및 배터리 안전기술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전기차 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안전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고객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고객 서비스, 연구개발 부문에서의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종합대책’과 연계해서도 유관부서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8월부터 시행해 고객의 높은 호응을 받고 있는 전기차 안심점검 서비스를 무상보증기간과 관계없이 매년 진행해 전기차 핵심 부품을 무상 점검하는 한편 고객 신뢰도 제고에 나선다.

배터리 안전 기술 개발과 화재 위험도를 크게 낮춘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배터리 시스템의 오류 진단 및 화염 노출 지연·방지 기술 개발 역량을 한층 향상시키고 12월 현대차·기아 의왕연구소 내 완공 예정인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에서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해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내년 상반기에 자동차 소유주가 정보제공에 동의한 차량을 대상으로 화재위험정보를 자동으로 소방당국에 알리는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소방청과 무인 소방로봇 공동 개발에 나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