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곡 사이언스파크서 '글로벌 히트펌프 컨소시엄' 출범식
북미∙유럽∙아시아 히트펌프 컨소시엄 연구진 초청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북미, 유럽, 아시아에 구축한 차세대 히트펌프 기술 개발 컨소시엄의 핵심 연구진을 한국으로 초청해 LG전자가 HVAC(냉난방공조) 사업 기술협력을 강화한다.
LG전자는 23일부터 나흘간 서울 마곡 사이언스파크에서 ‘글로벌 히트펌프 컨소시엄’ 출범식을 가진다고 24일 밝혔다.
행사에는 LG전자가 구축한 첨단 히트펌프 컨소시엄에서 연구중인 해외 대학 교수진들이 참여했다.
LG전자는 지난해 11월 북미(미국 알래스카), 올해 6월 유럽(노르웨이 오슬로), 8월 아시아(중국 하얼빈)의 주요 한랭지에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을 설립한 바 있다.
LG전자가 차세대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주제로 글로벌 통합 행사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에서는 LG전자의 히트펌프 기술과 주요 제품이 소개됐다. 각 지역별 컨소시엄과 함께 진행하는 산학과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행사 첫날인 23일에는 북미 컨소시엄의 앵커리지 알래스카대학 게투 교수가 ‘한랭지 공기열원 히트펌프 모니터링’을 주제로, 유럽 컨소시엄의 오슬로 메트로폴리탄대학 김문근 교수가 ‘유럽 특화 히트펌프의 한랭지 필드테스트’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는 등 각 지역별 컨소시엄에서 극한의 기후에서도 고성능을 발휘하는 히트펌프 기술 연구 현황과 과제가 공유됐다.
남은 기간에는 각 국가 기후 특성에 따른 히트펌프 제품 동향과 미래기술을 주제로 토론 세미나가 진행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이번에 출범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히트펌프 연구에 글로벌 탑티어(Top-tier) 대학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HVAC 연구개발(R&D)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각 컨소시엄에서 진행하고 있는 히트펌프 기술 실증 결과를 적용해 개발한 제품과 솔루션으로 LG전자 히트펌프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주요 시장에서 지역 맞춤형 냉난방 솔루션을 앞세워 HVAC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HVAC 사업의 연구개발부터 판매와 유지·보수 등 전 단계를 현지에서 하는 ‘현지 완결형 체제’를 구축했으며 한국, 북미, 유럽, 인도에는 5개의 에어솔루션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세계 43개 국가, 62개 지역에 HVAC 아카데미를 갖추고 매년 3만명이 넘는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조주완 LG전자 CEO는 “LG전자는 HVAC 부문에서 B2B(기업간 거래) 비즈니스를 가속화하고 그 중심에는 히트펌프가 있다”며 “히트펌프 컨소시엄과 함께 글로벌 전기화 트렌드에 맞춰 탈탄소화 솔루션으로 히트펌프 산업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中 하얼빈 히트펌프 컨소시엄 구축...LG전자, 한랭지 R&D 글로벌 트라이앵글 완성
- 글로벌 HVAC사업 강화..LG전자, 유럽 '에어솔루션연구소' 신설
- "냉난방공조 글로벌 탑티어 도약"..LG전자, 글로벌 '공조 엔지니어' 3만 육성
- 亞 냉난방공조 시장 공략…LG전자, '2024 LG HVAC 리더스 서밋' 개최
- "해양 생태계 보호"…LG전자, 美 타임스스퀘어 '바다사자' 캠페인 영상 공개
- "AI로 서비스 업그레이드"..LG전자, '2024 콜센터품질지수' 1위
-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 전환 속도"···LG전자 2027년까지 1조원 이상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