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예정 없던 온라인 기자간담회 열어 반박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KT가 정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통계에서 자사가 LG유플러스에 밀리며 3위 사업자로 내려앉았다는 사실에 반박하며 긴급 기자간담회를 개최, “통계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T는 9일 오전 예정에 없던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KT는 휴대폰 시장 점유율 기준으로 LG유플러스보다 258만명 정도 여전히 앞서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발표자로 나선 김영걸 KT 커스터머부문 상품기획담당(상무)은 “이 통계엔 사물지능통신(IoT) 가입 회선이 포함돼 이동통신 가입 현황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지 않다”며 “난해한 부분이 많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휴대전화, 태블릿PC 등 사람이 쓰는 통신과 IoT에 대한 명확한 분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체 이동통신 총 가입 회선(알뜰폰 제외)은 SK텔레콤 3116만8214개, LG유플러스 1801만6932개, KT가 1713만3388개로 각각 집계됐다.
LG유플러스와 KT 간 회선 차는 88만3544개로 두 업체 간 순위가 바뀐 것은 1996년 LG유플러스 창립 후 27년 만이다.
'만년 3위' LG유플러스가 2위 KT를 넘은 것은 7일 양사의 3분기 실적 공시를 통해 이미 알려진 내용이지만 정부 공식 통계로 이같은 사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LG유플러스는 차량 관제와 원격관제, 무선 결제 등 IoT 회선을 중심으로 빠르게 가입자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IoT 회선 수는 SK텔레콤 650만3796개, LG유플러스 599만9223개, KT 217만5251개의 순이었다.
휴대폰 가입 회선(일반 소비자)만 놓고 보면 SK텔레콤이 2310만회선으로 굳건한 1위고 KT(1359만회선) LG유플러스(1101만회선) 순이다.
김 상무는 “사람이 쓰는 통신은 사물 기반으로 움직이는 통신보다 시장 규모가 크고 수익성 또한 좋다”며 “시장 특성이 다른 영역을 한 데 묶어 보는 것은 해석과 판단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LG유플러스 측은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존 B2C(기업과 개인 간 거래) 시장에서 B2B(기업 간 거래)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 중 IoT는 앞으로 카 인포테인먼트, 스마트팩토리, UAM(도심항공교통) 등 신산업 분야에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B2B 시장에서 선도적인 사업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맞섰다.
양사의 이같은 아전인수 싸움에 과기정통부는 사람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회선과 IoT용 회선을 구분한 통계와 전체 이동통신 통계를 함께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철호 KT 정책협력실 사업협력담당(상무)은 “과기정통부도 이용자 해석과 판단에 오해가 없도록 사람과 사물 통신을 구분해서 집계하겠다는 방침”이라며 “개편을 논의할 때 의견을 적극 낼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