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휴대폰 번호 노출 없이 민원인과 소통

[포쓰저널 = 반지수 기자] KT가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인천광역시교육청(인천교육청)에 도입했다고 1일 밝혔다. 다음달 말까지 시범 서비스 후 10월부터 정식 서비스를 진행한다.
최근 공교육 현장에서 교사나 교직원의 휴대폰 번호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등 개인 정보가 무분별하게 노출돼 사회적인 문제가 확산되고 있다.
인천교육청 측은 일선 교직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KT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양방향 문자 서비스는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PC를 통해 고객과 문자메시지로 실시간으로 대화를 하거나 알림을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징 분야의 소통 플랫폼이다.
해당 서비스는 인천교육청의 업무용 메신저에 통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인천교육청 관할에 소속된 전체 교직원은 휴대폰 번호를 노출하지 않고도 학교의 유선 전화 번호로 학부모나 학생 등 민원인과 소통할 수 있다.
인천교육청 측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생활 침해, 업무 시간 외 연락 등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교직원들은 기존에 종이로 배포하던 가정통지문, 알림장, 급식 식단표 등 교육 현장의 공지사항을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통해 문자메시지 형태로 발송할 수 있다.
부모 및 학생이 실시간으로 답장을 보낼 수 있어, 공교육 현장의 소통에 도움이 될 것으로 KT 측은 기대했다.
KT 커뮤니케이션플랫폼사업담당 임건호 상무보는 “양방향 문자는 교직원의 권리와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학생, 학부모와 원활한 소통을 지원하는 가장 편리하고 효과적인 플랫폼이다”며 “앞으로도 KT의 다양한 DX(디지털혁신)서비스를 통해 공교육 현장의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