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 프로그램에 교육용 키오스크 지원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SK텔레콤은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과 함께 장애학생을 위한 찾아가는 ICT(정보통신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23일 SKT와 국립특수교육원은 서울 양천구 양강초등학교에서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용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프로그램 활용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은 SKT와 국립특수교육원이 추진하는 장애학생 정보화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교육원의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 프로그램에 키오스크를 지원했다.
찾아가는 상상 체험버스는 버스·트럭 등의 구조를 변경해 가상·증강현실(VR·AR), 홀로그램, 인공지능(AI), 댄스 로봇, 가상현실 모션 플랫폼을 이용한 4D어트랙션, 확장현실(XR) 등의 요소를 탑재한 이동형 체험 공간이다.
키오스크에는 식당 등 요식업 매장에서 주문하는 방법이나 지하철, 열차 등 교통수단 예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탑재했다.
SKT는 올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K-디지털 플랫폼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경기 지역 40여개 특수교육기관에서 키오스크, AI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한우 국립특수교육원장은 “SK텔레콤과의 협업은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해, 장애학생 교육에 필요한 첨단기술을 보유한 우수 기업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엄종환 SK텔레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얼라이언스(Alliance) 담당은 “재능 있는 학생들이 장애로 인해 ICT 교육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다양한 체험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며 “국립특수교육원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SKT와 국립특수교육원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전국 특수학교(일반학교 특수학급 포함) 100여개, 1000여명의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행복 코딩스쿨’을 진행했다.
양측은 2월 장애학생 맞춤형 디지털 교육 관련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