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SK텔레콤은 5G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에 주파수 결합 기술 슈퍼 듀얼 밴드(SDB)를 도입해 도서·산간지역 공동망에 적용했다고 18일 밝혔다.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해 두 지점 간(기지국-기지국, 기지국-중계기 등) 대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주로 도서·산간 등 광케이블 매설이 어려운 지역에서 유선망을 대체하는 역할이나 재해 등 광케이블 유실 시 긴급 복구용으로 사용된다.
SKT는 5G 공동망에서 대용량(최대 10Gbps)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주파수 결합 기술을 개발했다.
SKT가 이번에 SDB 기술로 결합한 주파수는 기존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에 사용되던 11㎓와 신규 도입된 80㎓ 주파수다.
기존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용 주파수인 11㎓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나 대용량화가 어려웠고, 80㎓은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나 장거리 통신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SKT는 이 두 주파수를 SDB 기술로 결합함으로써 각 주파수의 장점만을 모아 대용량의 데이터 장거리 전송(10km 이내)을 가능하도록 했다.
SKT는 여기에 자체적으로 흔들림을 감지해 네트워크 품질을 자동으로 안정화 하는 지능형 안테나도 추가 도입했다.
우선 통영 산양-학림도 구간의 공동망에 SDB 기술을 적용해 시험 중이며, 향후 도서 공동망 강화를 위해 기술 적용 구간을 늘려갈 계획이다.
SKT는 SDB 도입 등 5G 커버리지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1월 드론과 이미지 분석 AI(인공지능)를 통해 통신탑의 안전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3월에는 무선 네트워크 품질 관리 AI 솔루션인 A-STAR를 개발해 자사 전국 기지국에 적용했다.
이종훈 SKT 인프라 엔지니어링 담당은 “이번 SDB 개발을 통해 5G 도서 공동망의 안정적인 서비스가 한층 강화됐다”며 “SKT는 앞으로도 도서·산간 지역 공동망 뿐 아니라 전국 모든 고객에게 안정적인 5G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