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의미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 하향 조정 중"

[포쓰저널=문기수 기자] 삼성전자가 7일 올해 1분기 잠정실적 발표와 함께 메모리 반도체 감산을 공식화하면서 주가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오전 10시 10분 기준 6만4800원으로 전일 종가 대비 4% 오른 상태서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은 6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5.75% 급감했다.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 밑으로 떨어진 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 이후 14년만에 처음이다. 매출은 63조원으로 19% 감소했다.
역대급 어닝쇼크에도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는 건 삼성전자가 이날 실적 발표와 함께 낸 설명자료에서 메모리 반도체 감산을 공식화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당사는 그 동안 메모리 시황에 전략적인 대응을 위해 노력해 왔다"며 "특히 난이도가 높은 선단공정 및 DDR5/LPDDR5 전환 등에 따른 생산 빗그로스(B/G, 비트 단위로 환산한 반도체 생산량 증가율) 제약을 대비하여 안정적인 공급력을 확보하는데 주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통해 특정 메모리 제품은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 가능한 물량을 확보했다는 판단 하에 이미 진행 중인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 최적화 및 공학 실행(Engineering Run) 비중 확대 외 추가로 공급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의미 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단기 생산 계획은 하향 조정했으나 중장기적으로 견조한 수요가 전망되는 바, 필수 클린룸 확보를 위한 인프라 투자는 지속하고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비중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마이크론테크놀로지, SK하이닉스 등이 메모리 감산을 통해 실적 방어에 나설 때에도 ‘인위적인 감산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삼성전자는 1분기 영업이익 감소 이유로 ▲정보기술(IT) 수요부진 ▲메모리 고객사의 주문감소 ▲ 시스템 반도체 경기 부진을 꼽았다.
삼성전자는 "IT 수요 부진 지속에 따라 부품 부문 위주로 실적이 악화되며 전사 실적 이 전분기 대비 큰 폭 하락했다"며 " 메모리는 매크로 상황과 고객 구매심리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및 다수 고객사의 재무 건전화 목적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전분기대비 실적이 큰 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또 "시스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SDC) 도 경기 부진 및 비수기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다"고 했다.
SK하이닉스 주가도 같은 시간대 전장 대비 5%대 급등한 8만8000원대에서 거래 중이다.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감산이 SK하이닉스의 재고 부담을 완화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