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위성 위치 예측...주파수 오류 최소화
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 양방향 송수신 가능

비지상네트워크 개념도./삼성전자
비지상네트워크 개념도./삼성전자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삼성전자는 5G 이동통신으로 모바일 기기와 인공위성을 연결하는 '비지상 네트워크(NTN, Non-Terrestrial Networks)' 표준기술을 확보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기술은 위성통신에 활용되는 핵심 모뎀 기술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기구(3GPP)의 표준(릴리즈-17)에 맞춰 '엑시노스 모뎀 5300'에 적용돼 검증을 완료했다.

사막·바다·산악 지대의 통신 음영지역이나 재해 상황에서도 사각지대 없는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지상 네트워크가 닿지 않는 무인항공기, 플라잉카 등 도심항공교통(UAM)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비지상 네트워크가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앞당기는데 필수적인 위성통신 기술로, 표준기술이 확보되면서 빠른 확산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파원에서 나온 파동의 진동수가 실제 진동수와 다르게 관측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도플러 천이 보상(Doppler Shift Compensation)' 기술을 확보했다.

인공위성과 모바일 기기 위치정보로 양자간 도플러 효과를 사전에 예상해 주파수 오차가 보상된 신호를 송수신한다.

간단한 문자 메시지 외에도 사진과 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의 양방향 송수신도 가능하다.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기반 위성통신 표준기술도 개발해 차세대 엑시노스 모뎀에 적용할 예정이다.

NB-IoT는 좁은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초저전력으로 장기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5G·NB-IoT 기술이 적용된 엑시노스 모뎀을 지속 발전시켜 인공위성 기반의 5G 이동통신 상용화하고 6G 기반 만물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 시대 기술을 선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김민구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2009년 업계 최초로 4G LTE 모뎀을 상용화하고, 2018년에는 5G 통신표준 기반 멀티모드 모뎀을 업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무선 통신 기술 리더십을 이어가고 있다”며 "향후 지상·비지상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통신과 6G 이동통신 기술을 적극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