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과 이미지 분석 AI 활용한 고위험 통신탑 안전점검 지능화 추진

SK텔레콤과 SK오앤에스 직원이 드론을 통해 통신탑을 점검하는 모습 /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과 SK오앤에스 직원이 드론을 통해 통신탑을 점검하는 모습 / 사진=SK텔레콤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SK텔레콤은 드론과 이미지 분석 AI(인공지능)를 통해 통신탑의 안전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 이를 현장에 적용했다고 3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통신탑의 볼트‧너트 풀림에 대한 안전도 점검을 위해 사내 전문가 그룹을 통해 이미지 분석 AI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드론 촬영에 활용해 현장 검증을 완료했다.

SK텔레콤은 이번 안전점검 지능화를 통해 통신탑 노후화로 인한 사고 예방 뿐 아니라 드론 활용 점검으로 점검자가 통신탑에 직접 오를 요인을 최소화해 점검자의 안전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드론 촬영 결과 이미지 분석에 불량 판독을 위한 AI 모델이 적용됨으로써 기존 육안 점검 방식 대비 업무 생산성이 제고됐다.

하나의 통신탑을 점검하기 위해 드론으로 촬영한 100여 장의 이미지를 점검자가 직접 육안 확인해야 했던 과정이 이미지 판독 AI 모델을 통해 자동화된 것이다.

SK텔레콤은 향후 풍압 안전도‧기울어짐 등 점검항목을 추가하고 AI를 고도화, 안전관리시스템과 연동하는 등 지속적으로 통신탑 안전점검 지능화 시스템을 고도화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통신망의 AI 진화를 위해 이상감지, 작업, 엔지니어링, 최적화 분야의 과제를 선정해 추진 중이다. 이번 드론·AI를 통한 통신탑 안전 점검은 작업 분야 안전 강화의 일환이다.

SK텔레콤은 통신망 AI 진화의 일환으로 지난해 AI를 활용한 맨홀 안전관리 솔루션을 개발, 주요 통신시설 인근 맨홀에 적용하기도 했다.

박명순 SK텔레콤 인프라DT담당은 "이번 통신탑 안전점검에 드론·AI를 활용해 육안 점검 방식을 효과적으로 보완함으로써 점검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AI 통신망으로의 진화를 위한 업무 전반의 혁신 과제를 추진하며 AI가 지속 발전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위해 현장 구성원을 AI 개발이 가능한 전문가로 꾸준히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